본 연구는 치과위생사의 감염예방 지식도, 교육경험, 실천도, 조직 관련 요인, 진료 환경, 감염사고 실태를 파악하고 치과 진료실에서 치과위생사가 감염예방을 실천하는데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서 감염 예방 실천도 제고를 위한 기초 자료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2005년 10월과 11월에 인천․경기도회와 서울시회 보수교육에 참여한 치과위생사 181명이었다. 자료의 분석은 SPSS WIN 13.0을 이용하여 빈도 분석과 기술 통계 분석, 일요인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카이제곱 검정, T-검정, 다중회귀분석을 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의 수준은 0.05로 하였다.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보면 연령은 25세 미만이 84명(50%)으로 나타났고, 교육 수준은 전문대졸이 145명(86.3%)이었다. 근무 년 수는 2년 미만이 76명(45.2%), 근무처는 치과의원이 86명(51.2%)으로 가장 많았다. 감염예방 교육경험이 있는 대상자는 72명(42.9%)이었고, 교육경험자에서의 감염예방 교육경로를 보면 “근무병원 자체 교육을 통해서”가 42명(58%)으로 가장 많았다. 손상 경험이 있는 대상자는 147명(87.5%)이었고 감염성 질환에 감염된 경험이 있는 대상자는 6명(3.6%)이었다. 감염된 질환은 “B형 간염”이 4명으로 가장 많았고, “풍진” 1명, “결핵” 1명이었다.
2) 일반적 특성 실천도 분석 결과, 연령(F=3.237, p=0.024)과 근무 경력(F=3.333, p=0.021)에서 유의한 실천도 점수의 차이가 있었다. 교육경험 여부는 근무처(X²=19.823, p=0.001)에 따라, 지식도는 연령(F=4.895, p=0.003)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감염예방 교육경험이 있는 경우가 경험이 없는 경우에 비해 감염 예방 실천도 점수가 높았다(t=3.315, p=0.001). 조직 관련 요인과 실천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3) 감염예방 실천도에 미치는 요인 분석 결과에서는 조직관련 요인이 높을수록 감염예방 실천도가 높게 나타났다(R²=0.34).
위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치과위생사의 감염예방 실천도 제고를 위해서는 학교 교육과정에 감염 예방에 대한 내용을 다루어 치과위생과 학생들의 감염 예방 지식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며, 학교 졸업 후에도 근무병원 자체교육과 협회 등 단체의 보수교육을 통한 지속적인 교육과 홍보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나아가 무엇보다도 가장 중요한 것은 치과 위생사들이 스스로에게 안전한 근무환경을 조성하도록 병․의원 조직 자체의 적극적인 노력과 관심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