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lucidate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 and risk factor(especially, job stress and ergonomic evaluation-REBA) in hospital worker.
METHOD: The study subjects were 624 hospital worker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used to assess the respondent' job stress, musculoskeletal symptom and general characteristics. Job contents questionnaire of Karasek was used in job stress evaluation. The REBA was used to ergonomic evaluation.
RESULT: The musculoskeletal symptom prevalence is 54.8%. In logistic multiple regression, REBA(p<0.01), job stress(p<0.01), sex(p<0.05), age(p<0.05) and type of occupation(p<0.05) influence musculoskeletal disorder.
CONCLUSION: The hospital workers exposed many musculoskeletal risk factor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rgonomic evaluation-REBA, job stress, sex, age and type of occupation is associated with musculoskeletal disorder.
배경: 작업관련성 근골격계 질환(Work 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이란 신체를 이루고 있는 근육, 골격, 힘줄, 힘줄막, 인대, 신경, 혈관, 윤활낭 등의 이상으로 인해 통증이 발생하고, 기능 이상 또는 감각 이상이 나타나는 질환을 말한다. 최근의 산업재해현황을 살펴보면 작업성 근골격계 질환은 매우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고, 이로 인해 경제적, 정신적, 육체적 손실이 점점 더 커지고 있다. 병원이라는 작업장은 그 특성상 수많은 근골격계 질환의 위험요인이 존재하고, 수많은 병원 근로자들이 근골격계 증상을 호소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에 대한 인간공학적 평가와 정신사회적 요인에 대한 분석을 같이 시행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목적: 병원 근로자의 인간공학적 평가 및 직무스트레스를 분석하여 근골격계 질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아울러 일반적 특성 및 직업적 특성 등이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려 한다.
방법: 경기도 지역의 한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근로자 624명에 대해 설문조사와 근골격계 관련 인간공학적 평가를 시행하였다. 설문조사에서 나이, 성별, 결혼 등의 일반적 특성, 직종, 근속기간, 근무시간, 교대근무여부 등의 직업적 특성과 직무스트레스 및 근골격계 증상여부 등을 조사하였다. 인간공학적 평가로는 video분석을 이용한 REBA를 시행하였다.
결과: 연구대상자의 79.6%가 여성이었고, 80.6%가 40세 미만이었으며, 59.1%가 기혼자였다. 52.6%가 간호사로 직종 중 가장 많았으며, 97.3%가 10년 미만의 근속연수를 보였다. 78.4%는 하루 8시간 이내로 근무하였고, 교대근무자와 비교대근무자의 비율은 비슷하였다. 직무스트레스를 분류하였을 때, 수동적 집단 14.4%, 저긴장 집단 28.7%, 능동적 집단 31.4%, 고긴장 집단 19.6%였고, 평균 REBA등급은 위험도 낮음이 27.9%, 보통이 42%, 높음이 29.8%였다. 54.8%의 근로자가 근골격계 질환의 증상을 호소하였다. 단변량분석결과 성별, 나이, 결혼상태, 직종, 교대근무여부, 근속연수, 직무스트레스, REBA평가결과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로지스틱회귀분석결과 REBA평가, 성별, 연령, 직종, 직무스트레스의 순서로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를 보았을 때, 병원에 종사하는 근로자들은 작업관련성 근골격계 질환의 위험요인에 노출되어 있고, 그 중에서도 작업환경 등의 인간공학적 요인과 직무스트레스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작업환경의 인간공학적 개선과 더불어 직장에서 겪게 되는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이에 대처할 수 있는 교육과 예방활동이 시급하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