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본 연구에서는 초극소 저체중 출생아에서 저알부민혈증의 발생 및 임상 양상을 조사하여 사망률을 비롯한 예후와의 관련성을 확인하고 알부민 투여의 효과를 평가하고자 한다.
방법: 2008년 1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본원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1.000 g 미만의 초극소 저체중 출생아 83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혈중 알부민 2.5 g/dL 이상(정상 알부민혈증, n=42)과 2.5 g/dL 미만(저알부민혈증, n=41)인 두 군으로 나누어 임상적 특징을 조사하였고, 저알부민혈증군을 알부민을 투여한 군(n=36)과 투여하지 않은 군(n=5)으로 나누어 임상적 특징과 알부민 투여 후 예후를 조사하였다.
결과: 총 83명의 초극소 저체중 출생아 중에서 41명이 저알부민혈증군으로 분류되었다. 저알부민혈증과 관련된 임상적 상태로 동맥관개존증은 19.5%, 뇌실 내 출혈(≥grade III)은 4.9%, 괴사성 장염(≥stage IIa)은 46.3%, 폐렴은 4.9%, 패혈증은 24.4% 였다. 단변수 분석에서 저알부민혈증군과 정상 알부민혈증군에서 재태연령(26+6±2+1 vs. 26+0±1+5,P=0.045)과 출생체중(868±117 vs. 783±121, P=0.002)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동맥관개존증, 뇌실 내 출혈, 괴사성장염, 기관지폐 이형성증 등의 주요 합병증 및 사망률의 차이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다변수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는 어린 출생체중이 유일하게 저알부민혈증과 연관된 인자로 밝혀졌다(OR .995, 95% CI .990-.999, P=.019). 저알부민혈증군에서 알부민 투여 여부가 사망률(47.2% vs. 0%, P=0.065)을 비롯한 예후에 영향을 미 치치는 않았다.
결론: 초극소 저체중 출생아에서 저알부민혈증군과 정상 알부민혈증군 사이에 합병증 및 사망률은 차이가 없었다. 다만, 저알부민혈증과 관련한 유일한 인자는 작은 출생체중이 있었다. 또한 저알부민혈증에서 알부민 투여의 여부에 따른 합병증 및 사망율에 차이는 없었다.
Purpose: We investigated the incidence and clinical course of hypoalbuminemia and identified relevance of prognosis including mortality in extremely low birth weight infants (ELBWIs). Also, we assessed the efficacy of intravenous albumin infusion.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including 83 preterm infants <1,000 g of birth weight who were admitted to Ajou university hospital`s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from January 2008 to December 2012 was performed.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e normoalbuminemia (≥2.5 g/dL serum albumin, n=42) group and the hypoalbuminemia (<2.5 g/dL serum albumin, n=41) group, and also the hypoalbuminemia group were subdividedinto the intravenousalbumin infusion group (n=36) and the control group (n=5).
Results: Of those 83 ELBWIs, 41 infants (49.4%) were classified as the hypoalbuminemia group. Associated conditions with hypoalbuminemia were patent ductus arteriosus (PDA, 19.5%), intraventricular hemorrhage(IVH, ≥grade III, 4.9%), necrotizing enterocolitis (NEC, ≥stage IIa, 46.3%), pneumonia (4.9%), sepsis (24.4%). Inunivariate analysis,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jor morbidities such as PDA, IVH, NEC, bronchopulmonary dysplasia and mortality between the normoalbuminemia and the hypoalbuminemia groups except gestational age (26+6±2+1 vs. 26+0±1+5, P =0.045) and birth weight (868±117 vs. 783±121,P =0.002). In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birth weight is the only meaningful factor associated with hypoalbuminemia(OR .995, 95% CI .990-.999, P =0.019). The mortality (47.2% vs. 0%, P =0.065) and morbidities did not differ between the intravenous albumin infusion and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In ELBWI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jor morbidities and mortality between thehypoalbuminemia and the normoalbuminemia groups. The lower birth weight is the only factor associated with hypoalbuminemia. In addition, major morbidities and mortality rate were not affected by the albumin infu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