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Scipus Cited Count

Characteristics and the regional variation of meteorological disaster-attributed mortality in Korea

Other Title
우리나라 기상재해 사망자의 특성 및 지역별 사망률 차이에 미치는 요인
Authors
명, 형남
Advisor
장, 재연
Department
대학원 의학과
Degree
Doctor (2014)
Abstract
Human death and injury due to meteorological disasters makes up a crucial part of the influences of climate change on health. Previous studies on meteorological disasters, however, have mainly focused on economic losses and have provided poor analyses of human impact, including the causes of death and the identification of vulnerable groups. Information about specific causes of death in meteorological disasters is very useful in terms of identifying vulnerable groups, devising damage-prevention measures, and writing action guidelines for citizens. In addition, long-term trend data in the number and characteristics of casualties due to meteorological disasters are also needed to evaluate the health impacts of climate change and develop better measures for adaptation in future. The same meteorological disasters will result in different amounts of damage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s and societies impacted, which is why it is important to take a comparative approach to the analysis the factors responsible for differences in mortality due to meteorological disasters. Without active response plans and actions at local and regional levels, central governments will face limitations to their efforts to reduce mortality due to meteorological disasters. Research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casualties due to meteorological disasters and the factors responsible for differences in mortality by region will offer critical information for the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such damageprevention measures on the basis of consideration of regional characteristics. In that vein, this study set out to build and utilize a database of casualties due to meteorological disasters in Korea and to use it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ose casualties and the factors responsible for differences in mortality across regions. The results show 2,045 casualties due to meteorological disasters between 1990 and 2008: floods caused the biggest number of deaths, at 966 (47.2%), followed by typhoons at 748 (36.6%) and storms at 316 (15.5%). The biggest cause of death was drowning, at 1,234 (60.3%), followed by landslide, at 403 (19.7%) and building collapse, at 206 (10.1%). With regard to causes of drowning, overflowing and rapid streams caused the most casualties at 743 (60.1%), followed by capsized boats at 368 (29.8%) and waves at 60 (4.9%). Breaking down annual average mortality by gender, male mortality was 3.11 per one million national population, which was 1.9 times higher than female mortality, at 1.63 per one million population. It was also found that mortality tended to increase with age. As for mortality by the coastal regions of provinces (small-and-medium-sized cities and farming and fishing towns) recorded the highest mortality at 6.19 per one million population, followed by the inland regions of provinces at 3.23, the coastal regions of metropolitan cities at 0.94, and the inland regions of metropolitan cities at 0.55. Finally, with regard to changes over time, deaths by flood decreased by around a quarter, from 80.2 to 20.5, whereas deaths by typhoons increased by 1.7 times, from 31.1 to 54.4, which shows that the biggest cause of meteorological disaster-related deaths in South Korea has changed from floods to typhoons. In an effort to identify the factors responsible for differences in mortality by region due to meteorological disasters from 1990 to 2010 in Korea, the investigator carried out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ith city, as the analysis units; annual mean deaths per one million people in cities, guns, and gus as the dependent variable; and the demographic, meteorological, geographical, and socioeconomic factors of each city, gun, and gu as the in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showed that mortality tended to rise with increases in any of several variables: monthly maximum precipitation, number of days with strong winds (14 m/s and over), average altitude, and growth rate of park area per 1,000 people; it also tended to rise with lower distribution rate of water and sewer. Analysis results and province reveal that mortality tended to rise in metropolitan cities when there was a longer coastline, less agricultural land, a faster rate of disappearance of agricultural land, and less distribution rate of water and sewer. Mortality also tended to rise in provinces when monthly maximum precipitation was higher, the number of days with heavy precipitation (80mm/day and over) and the number of days with strong (14 m/s and over) was higher, and the growth rate in the amount of park area per 1,000 people was higher. The study also analyzed deaths by type of disaster, and found that mortality by flood was higher when the proportion of people aged 65 and over was higher, monthly maximum precipitation was higher, and area of forest land was higher. In contrast, mortality by typhoon was higher when the number of days with strong winds (14 m/s and over) was higher and the distribution rate of water and sewer. These findings can serve as basic public health data for the establishment of damageprevention measures that take into account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deaths by meteorological disasters and their implications for prevention. However, a more precise disaster-dynamics monitoring system is still required, and research on differences in factors responsible for differences in mortality by region should be expanded in order to establish measures for meteorological disasters.

기상재해로 인한 인명피해는 기후변화로 인한 건강영향 중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그동안 기상재해와 관련된 연구들은 주로 경제적 손실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고, 사망 원인이나 취약집단의 규명 등 인명피해 분석에 대해서는 미흡하였다. 기상재해로 인한 구체적인 사망원인에 대한 정보는 취약인구 집단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피해예방대책을 수립하거나 시민들의 행동요령 등을 만드는데 매우 유용하다. 그리고 기상재해로 인한 사망자의 규모 및 특성의 장기적인 변화추세를 파악하는 것도 기후변화로 인한 건강영향을 평가하고, 향후 적응대책을 수립하기 위해 필요한 자료이다. 동일한 기상재해라도 지역의 특성에 따라 그 피해 규모가 달라지기 때문에 지역별로 기상재해로 인한 사망률에 차이가 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기상재해로 인한 사망자를 줄이기 위해서는 지역 차원의 적극적인 대응과 노력 없이 중앙정부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기상재해로 인한 사망자의 특성과 지역별 사망률 차이에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는 연구는 향후 지역 특성을 고려한 피해예방대책을 수립하고 실행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기상재해로 인한 사망자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를 활용하여 사망자의 특성과 지역별 사망률 차이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 1990년에서 2008년까지 발생하였던 기상재해로 인한 사망자 수는 모두 2,045명이었다. 홍수로 인한 사망자가 966명(47.2%)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태풍 748명(36.6%), 폭풍 316명(15.5%)의 순이었다. 사망원인은 익사가 1,234명(60.3%)으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은 산사태 403명(19.7%), 건물붕괴 206명 (10.1%)의 순서였다. 익사 중에서는 하천범람․급류에 의한 익사가 743명(60.1%) 으로 가장 많았고, 배의 침몰에 의한 익사 368명(29.8%), 바다의 파도에 의한 익사 60명(4.9%)의 순이었다. 성별 연평균 사망률은 남자가 인구 100만명당 3.11명으로 여자의 1.63명에 비해 1.9배 높았고, 연령별로는 노령일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지역별 연평균 사망률은 지방(중소도시와 농어촌) 해안지역이 인구 100만명당 6.19명으로 가장 높았고, 지방의 내륙지역은 3.23명, 광역도시의 해안 지역이 0.94명, 광역도시의 내륙 지역은 0.55명이었다. 10년 단위의 연평균 사망자수의 변화는 홍수가 80.2명에서 20.5명으로 1/4로 감소한 반면, 태풍은 31.1명에서 54.4명으로 1.7배 증가하였다. 이것은 한국에서 가장 많은 사망자를 발생시키는 기상재해가 홍수에서 태풍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1990년부터 2010년 동안 발생하였던 기상재해로 인한 지역별 사망률 차이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분석단위를 시군구로 하여 종속변수는 시군구의 인구 100만명당 연평균사망률, 독립변수는 각 시군구의 인구학적 요인, 기상학적 요인, 지리학적 요인, 사회경제적 요인의 4가지 항목으로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시행 하였다. 월최대 강수량과 최대풍속이 14 m/s 이상인 날의 횟수가 많을수록, 지역 평균고도가 높을수록, 인구 천명당 공원 면적 증가율이 높을수록, 상수 및 하수도 보급률이 낮을수록 사망률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광역도시와 지방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는 광역 도시 내에서는 해안선 길이가 길수록, 논경지 면적이 적을수록, 논경지 면적 감소율이 높을수록, 상수 및 하수도 보급률이 낮을수록 사망률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지방 내에서는 월최대 강수량이 많을수록, 일 강수량이 80 mm 이상인 날과 최대풍속이 14 m/s 이상인 날의 횟수가 많을수록, 인구 천명당 공원 면적 증가율이 높을수록 사망률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재해 유형별로 홍수와 태풍에 의한 사망 각각에 대해서도 분석한 결과 홍수에 의한 사망률은 고령인구비율이 높을수록, 월최대 강수량이 많을수록, 산림면적이 많은 지역일수록 높았다. 태풍에 의한 사망률은 최대풍속이 14 m/s 이상인 날의 횟수가 많을수록, 상수 및 하수도 보급률이 낮은 지역일수록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상재해로 인한 사망자 예방 및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피해예방대책을 수립하는데 보건학적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향후 기상재해로 인한 적응대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보다 정밀한 재해역학모니터링 체계 구축과 지역별 사망률 차이에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확대된 연구가 필요하다.
Keywords

Appears in Collections:
Theses > School of Medicine / Graduate School of Medicine > Doctor
Ajou Authors
명, 형남  |  장, 재연
Full Text Link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qrcode

해당 아이템을 이메일로 공유하기 원하시면 인증을 거치시기 바랍니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