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Scipus Cited Count

Significance of Salivary Gland Radioiodine Retention on Post-ablation 131I Scintigraphy as a Predictor of Salivary Gland Dysfunction in Patients with Differentiated Thyroid Carcinoma

Other Title
방사성 요오드 치료를 받은 분화성 갑상선암 환자의 전신 요오드 스캔 상 관찰되는 침샘 섭취와 타액선 기능 변화의 연관성
Authors
조, 경숙
Advisor
윤, 준기
Department
대학원 의학과
Degree
Master (2014)
Abstract
PURPOSE: We investigated whether 131Iwhole-body scintigraphy could predict functional changes in salivary glands after radioiodine therapy.
METHODS: We evaluated 90 patients who received initial high-dose (≥3.7 GBq) radioiodine therapy after totalthyroidectomy.Allpatients underwent diagnostic (DWS) and post-ablation (TWS) 131I whole-body scintigraphy. Visual assessment of salivary radioiodine retention on DWS and TWS was used to divide the patients into two types of groups : aDWS+orDWS-group and aTWS+orTWS-group. Salivary gland scintigraphy was also performed before DWS and at the first follow-up visit. Peak up take and % was hout were calculated in ROI so feach gland. Functional changes (Δup take or Δwas hout) of salivary glands after radioiodine therapy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Both peak uptake and the %was hout of the parotid glands were significantly lower after radioiodine therapy (allp values <0.001),whereas only the %wash out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submandibular glands (all p values<0.05). For the parotid glands, the TWS+ groups howed larger Δuptake and Δwashout after radioiodine therapy than did the TWS- group (all p values <0.01). In contrast, the Δuptake and Δwashout of the submandibular glands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between the TWS+ and TWS- groups (allp values >0.05). Likewise,no differences in Δuptake or Δwashout were apparent between the DWS+ and DWS-groups in either the parotid or submandibular glands (allpvalues>0.05).
CONCLUSION: Salivary gland radioiodine retention on post-ablation 131I scintigraphy is a good predictor of functional impairment of the parotidglands after high-dose radioiodine therapy.

분화성 갑상선암으로 방사성 요오드 치료를 받은 환자에서 전신 요오드 스캔을 통한 타액선 기능 변화 예측이 가능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2010년 6월부터 2011년 10월까지 분화성 갑상선암으로 갑상선 전절제술 후 첫번째 고용량 방사성 요오드 치료를 받은 환자 중,진단 및 치료 후 전신 요오드 스캔과 치료 전후 두 차례의 타액선 섬광조영술 모두를 시행한 9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 환자들의 진단 및 치료 후 전신 요오드 스캔 상 관찰되는 타액선 부위의 섭취증가 유,무에 따라 각각 두 가지 그룹으로 분류하였으며, 치료 전후의 타액선 섬광조영술을 통하여 이하선 및 악하선의 섭취율 및 배설율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전신 요오드 스캔에서 관찰되는 타액선 부위의 섭취증가와 방사성 요오드 치료 후 타액선 기능 변화 사이의 연관성에 대해 분석한 결과,치료 후 전신 요오드 스캔에서 이하선 부위에 섭취증가를 보이는 환자군의 경우 섭취증가를 보이지 않는 환자군에 비해 방사성 요오드 치료 후 이하선의 섭취율 및 배설율이 유의하게 감소한 반면,악하선 부위의 섭취증가 유무는 타액선 기능변화와 별다른 관계가 없었다. 이와 마찬가지로,진단 전신 요오드 스캔에서 관찰되는 이하선 및 악하선 부위의 섭취증가는 치료 후 타액선 기능 변화와 연관성이 없었다. 따라서 고용량 방사성 요오드 치료 후 전신 요오드 스캔에서 이하선 부위에 섭취증가를 보이는 환자의 경우 이하선의 기능저하를 예측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타액선 기능 변화에 대한 적절한 예방 및 치료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Appears in Collections:
Theses > School of Medicine / Graduate School of Medicine > Master
Ajou Authors
윤, 준기  |  조, 경숙
Full Text Link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qrcode

해당 아이템을 이메일로 공유하기 원하시면 인증을 거치시기 바랍니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