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Scipus Cited Count

Pharmacological and Non-pharmacological Prevention of Fentanyl-Induced Cough : A meta-analysis

Other Title
펜타닐 유도성 기침의 예방을 위한 약물적 혹은 비약물적 중재법: 메타분석
Authors
김, 지은
Advisor
김, 종엽
Department
대학원 의학과
Degree
Doctor (2014)
Abstract
Fentanyl-induced cough (FIC) is often observed after intravenous bolus administration of fentanyl during anesthesia induction. This meta-analysis assessed the efficacy of pharmacological and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to reduce the incidence of FIC. We searched for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comparing the pharmacological or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with the controls to prevent FIC; we included 28 studies retrieved from Pub-Med, Embase, and Cochrane Library. Overall incidence of FIC was approximately 31%. Lidocaine [odds ratio (OR) = 0.29, 95% confidence interval (CI) 0.21 – 0.39], N-methyl-D-aspartate (NMDA) receptor antagonists [OR = 0.09, 95% CI 0.02 – 0.42], propofol [OR = 0.07, 95% CI 0.01 – 0.36], α2 agonists [OR = 0.32, 95% CI 0.21 – 0.48], β2 agonists [OR = 0.10, 95% CI 0.03 – 0.30], fentanyl priming [OR = 0.33, 95% CI 0.19 – 0.56], and slow injection of fentanyl [OR = 0.25, 95% CI 0.11 – 0.58)] were effective in decreasing the incidence of FIC, whereas atropine [OR = 1.10, 95% CI 0.58 – 2.11] and benzodiazepines [OR = 2.04, 95% CI 1.33 – 3.13] were not effective. This meta-analysis found that lidocaine, NMDA receptor antagonists, propofol, α2 agonists, β2 agonists, and priming dose of fentanyl were effective in preventing FIC, but atropine and benzodiazepines were not. Slow injection of fentanyl was effective in preventing FIC, but results depend on the speed of administration.

펜타닐 유도성 기침은 마취 유도시에 펜타닐을 일회 정주한 후 종종 관찰된다. 본 메타분석에서는 펜타닐 유도성 기침의 발생률을 줄이기 위해 시행되는 약물적 혹은 비약물적 중재법들의 효능을 평가하였다. 펜타닐 유도성 기침 예방을 위하여 대조군과 약물적 혹은 비약물적 중재법들을 비교한 무작위대조군연구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Pub-Med, Embase, Cochrane Library을 기반으로 하여 총 28 개의 연구들이 분석되었다. 펜타닐 유도성 기침의 전반적인 발생률은 31% 이었다. 리도카인 [odds ratio (OR) = 0.29, 95% confidence interval (CI) 0.21 – 0.39], N-methyl-D-aspartate (NMDA) 수용체 길항제 [OR = 0.09, 95% CI 0.02 – 0.42], 프로포폴 [OR = 0.07, 95% CI 0.01 – 0.36], 알파2 작용제 [OR = 0.32, 95% CI 0.21 – 0.48], 베타2 작용제 [OR = 0.10, 95% CI 0.03 – 0.30], 펜타닐 예비정주 [OR = 0.33, 95% CI 0.19 – 0.56], 그리고 펜타닐의 저속 주입 [OR = 0.25, 95% CI 0.11 – 0.58]들은 펜타닐 유도성 기침의 발생 감소에 효과적이었다. 반면 아트로핀 [OR = 1.10, 95% CI 0.58 – 2.11]과 벤조다이아제핀 [OR = 2.04, 95% CI 1.33 – 3.13] 계열들은 효과가 없었다. 본 연구에서 리도카인, NMDA 수용체 길항제, 프로포폴, 알파2 작용제, 베타2 작용제, 펜타닐 예비정주, 및 펜타닐의 저속 주입은 펜타닐 유도성 기침 예방에 효과가 있고, 아트로핀과 벤조다이아제핀은 효과가 없음이 밝혀졌다. 펜타닐 저속 주입은 펜타닐 유도성 기침의 예방에 효과가 있으나, 이는 주입 속도에 따라 결과가 달랐다.
Keywords

Appears in Collections:
Theses > School of Medicine / Graduate School of Medicine > Doctor
Ajou Authors
김, 종엽  |  김, 지은
Full Text Link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qrcode

해당 아이템을 이메일로 공유하기 원하시면 인증을 거치시기 바랍니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