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Scipus Cited Count

Disconnection Techniquewith a Bronchial Blockerfor Improving Lung Deflation

Other Title
폐허탈을 위한 기관지차단기 사용시의 분리 기술
Authors
유, 지영
Advisor
김, 종엽
Department
대학원 의학과
Degree
Doctor (2014)
Abstract
BACKGROUND: One lung ventilation (OLV) is accomplished with a double lumen tube (DLT) or a bronchial blocker (BB).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effectiveness of lung collapse using DLT, BB with spontaneous collapse, and BB with disconnection technique.
METHODS: Fifty-two patients undergoing elective pneumothorax surgery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pati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ree groups: DLT with spontaneous collapse group (Group 1), BB with spontaneous collapse group (Group 2), and BB with disconnection technique group (Group 3). In Group 3, we modified disconnection technique; 1) turned-off the ventilator and opened the adjustable pressure limiting valve allowing both lungs to collapse, 2) after loss of CO2 trace in the capnograph, 3) inflated blocker cuff and turned-on the ventilator allowing only dependent-lung reventilation. Five and ten min after OLV, lung collapse degree was assessed by the surgeon, who was blinded to the isolation technique.
RESULTS: The overall degrees of lung collapse were different among groups (p = 0.001 at 5 min, p = 0.002 at 10 min). In the paired intergroup comparisons, the qualities of lung collapse degree at 5 min and 10 min were better in the Group 1 and in the Group 3 than in the Group 2 significantly.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Group 1 and Group 3 in lung collapse degrees at any time points. In Group 3, the average time for loss of CO2 trace in the capnograph was 32.3 ± 7.0 sec.
CONCLUSIONS: BB with spontaneous collapse takes longer to deflate and do not provide equivalent surgical exposure to DLT. To accelerate the collapse of the lung in BB, disconnection technique could be helpful and the disconnection time required is about 30 sec.

서론: 일측폐환기를 위해 사용되는 도구로는 이중내강튜브나 기관지차단기가 있다. 본 연구는 이중내강튜브와 기관지차단기 그리고 분리기술을 적용한 기관지차단기법 간의 폐허탈을 유도하는데 있어서의 유용성에 대해 비교하였다.
연구방법: 환자는 무작위적으로 1에서 3 그룹으로 나뉘어졌다. 그룹 1은 이중내강튜브 그룹 으로, 그룹 2는 기관지차단기 그룹으로, 그룹 3은 분리기술을 적용한 기관지차단기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저자는 그룹 3에서 적용한 분리기술에 대해선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1) 전신마취기를 정지하고 압력제한판막을 개방해 양측폐가 모두 허탈 되도록 한다. (2) 호기말 이산화탄소분압이 측정되지 않는 시점에서 기관지차단기를 팽창시키고 전신마취기를 작동시켜 의존폐만 환기되도록한다.
결과: 일측폐환기를 시작한 뒤 5~10분 뒤에 술기에 대해 모르는 수술의가 폐허탈의 정도를 평가하였다. 5~10분뒤의 폐허탈 정도는 그룹 1과 3에서 그룹 2보다 우수하였다. 그룹 1과 그룹 3 간의 폐허탈의 정도는 측정한 시점과 관계없이 두군 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룹 3에서 호기말 이산화탄소분압이 측정되지 않는데 걸린 시간은 평균 32.3 ± 7.0 초였다.
결론: 기관지차단기 사용 시 자발적 폐허탈이 일어나는데는 시간이 오래 걸리고 이중내강튜브만큼 수술에 용이한 폐허탈을 유도하기 힘들다. 따라서 기관지차단기를 사용시에는 분리기술 적용하는 것이 이중기관내강을 이용한 폐허탈과 비슷한 환경을 유도할 수 있겠다.
Appears in Collections:
Theses > School of Medicine / Graduate School of Medicine > Doctor
Ajou Authors
김, 종엽  |  유, 지영
Full Text Link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qrcode

해당 아이템을 이메일로 공유하기 원하시면 인증을 거치시기 바랍니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