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Development of Korean Intensive Care Delirium Screening Tool (KICDST)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박, 지원 | - |
dc.contributor.author | 남, 애리나 | - |
dc.date.accessioned | 2015-10-21T06:29:06Z | - |
dc.date.available | 2015-10-21T06:29:06Z | - |
dc.date.issued | 2015 | - |
dc.identifier.uri | http://repository.ajou.ac.kr/handle/201003/11766 | - |
dc.description.abstract | 섬망은 병원에서 일반적으로 발견되는 광범위한 신경 정신학적 증후군이며, 급성으로 발현하는 가역적인 증상이다. 중환자의 섬망 발생은 비계획적 튜브 및 카테터 제거가 증가되고, 재원 일수 증가, 사망률의 증가, 의료비용의 증가 등 많은 부정적 문제를 야기하므로, 섬망 발생 후 치료를 하는 것보다 발생을 예방하거나 조기 발견이 중요하다. 환자의 변화를 조기에 확인할 수 있는 간호사는 섬망을 조기 발견하기에 가장 적합한 인력으로, 섬망을 빠르게 인식하고 쉽게 선별할 수 있도록 하는 섬망 선별도구가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 중환자 섬망 선별도구를 개발하고, 개발된 선별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문헌 분석과 임상 전문가 집단 면담을 통해 의식 상태의 변화, 지남력 장애, 기억력 장애, 집중력 장애, 지각 장애, 정서 장애, 사고 과정 장애, 의사소통 장애, 부적절한 행동, 정신 운동 지연, 수면-각성 주기 장애, 급작스런 발생과 변동의 총 12개의 중환자 섬망 특성을 확인하고, 한국 중환자 섬망 선별도구의 개념틀을 도출하였다. 2. 도구의 신뢰도 검증에서 평가자 간 일치도는 0.8∼1.0으로 나타나 거의 완벽한 일치를 보였으며, 내적 일관성은 K-R 20=0.840로 나타났다. 3. 도구의 내용 타당도 검증에서 문항별 전문가 타당도는 CVI 0.6∼1.0이었으며, CVI=0.6으로 나타난 활력 징후 및 생리적 변화 문항은 제외한, 12개의 문항으로 예비 섬망 선별도구를 구성하였다. 4. ROC 분석에서 AUC 값은 0.987이었으며, 절단 점수 3.5에서 민감도 100%, 특이도 89.9%로 나타나, 한국 중환자 섬망 선별도구의 선별 점수는 4점으로 정하였다. 선별 점수를 기준으로 했을 때, 선별도구의 민감도 95.0%, 특이도 93.7%, 정분류율 94.4%, 양성 예측도 95.0%, 음성 예측도 93.7%로 나타났다. 5. 본 연구에서 섬망 발생률은 55.6%였으며, CAM-ICU와 한국 중환자 섬망 선별도구의 상관관계는 Phi(r)=0.838로 나타나 준거 타당도가 검증되었다(p<.001). 6. 구성 타당도 검증을 위한 집단 비교법에서 섬망 비발생군의 평균 중환자 섬망 선별도구 점수는 1.25±0.99이었으며, 섬망 발생군의 평균 중환자 섬망 선별도구 점수는 5.07±1.89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16.33, p<.001). 7. 중환자 섬망의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요인분석 결과, 3개의 요인으로 분류되었고 전체 변량의 67.4%를 설명하였다. 요인 1은 인지 변화 영역으로 사고 과정 장애, 기억력 장애, 의사소통 장애, 집중력 장애, 지각 장애, 부적절한 행동, 지남력 장애, 의식 상태의 변화 문항으로 설명력은 38.2%이었다. 요인 2는 증상 변동 영역으로 급작스런 발생과 변동, 수면-각성 주기 장애, 정서장애 문항으로 설명력은 18.3%이었다. 요인 3은 정신 운동 지연 영역으로 정신 운동 지연 문항이며 설명력은 11.0%이었다. 본 도구는 중환자 섬망을 선별할 수 있는 민감도와 특이도가 높은 도구이며, 내적 일관성과 평가자 간 일치도가 높아 임상 적용이 용이하다. 따라서 섬망 발생 위험이 높은 중환자들에게 섬망을 조기에 선별하고 적절한 처치를 받을 수 있도록, 적극 사용할 것을 제언한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국문 요약 ⅰ
차례 ⅲ 표 차례 ⅳ 그림 차례 ⅴ 부록 차례 ⅴ Ⅰ. 서 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4 C. 용어 정의 4 Ⅱ. 문헌 고찰 6 A. 중환자 섬망 6 B. 중환자 섬망 측정 도구 9 Ⅲ. 연구방법 17 A . 연구 설계 17 B. 연구 절차 17 C. 윤리적 고려 32 D. 자료 분석 방법 33 Ⅳ. 연구 결과 35 A. 1단계: 도구의 개념틀 구성 35 B. 2단계: 예비 도구 개발 43 C. 3단계: 사전 조사 51 D. 4단계: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 53 E. 5단계: 최종 한국 중환자 섬망 선별도구 개발 62 Ⅴ. 논 의 65 A. 도구 개발의 방법론적 논의 65 B. 한국 중환자 섬망 선별도구의 활용 74 C. 연구의 의의 75 Ⅵ. 결론 및 제언 77 A. 결론 77 B. 제언 77 참고 문헌 79 부록 93 영문 초록 120 표 차 례 표 1. 중환자 섬망 측정 도구 14 표 2. Richmond Agitation Sedation Scale과 중환자 섬망 선별도구의 의식 상태 평가 26 표 3. 국내외 섬망 문헌 분석 결과 36 표 5. 예비 도구의 문항과 측정 기준 44 표 6. 전문가 집단의 내용 타당도 및 측정 방법의 타당도 검증 45 표 7. 예비 도구에 대한 전문가 의견 및 보완 46 표 8. 중환자 섬망 선별 예비 도구 48 표 9. CAM-ICU와 중환자 섬망 선별도구의 평가자 간 일치도 52 표 10. 연구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및 질병 관련 특성 54 표 11. 중환자 섬망 선별도구의 내적 일관성 55 표 12. 도구의 절단점에 따른 민감도와 특이도 57 표 13. 도구의 민감도와 특이도 및 정분류율과 예측도 57 표 14. CAM-ICU와 중환자 섬망 선별도구의 상관관계 58 표 15. 섬망 발생 유무와 중환자 섬망 선별도구 점수 비교 59 표 16. 중환자 섬망 선별도구 문항의 요인분석 60 표 17. 중환자 섬망 선별도구의 요인 61 표 18. 한국 중환자 섬망 선별도구 63 그 림 차 례 그림 1. 한국 중환자 섬망 선별도구 개발 단계 18 그림 2. 중환자 섬망 특성 분석을 위한 문헌 선택 과정 22 그림 3.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을 위한 대상자 29 그림 4. 도구의 검증 방법 30 그림 5. 중환자 섬망 선별도구의 개념틀 38 그림 6. 중환자 섬망 선별도구의 ROC 곡선 56 부 록 차 례 부록 1. 기관 윤리 심의위원회 승인서 93 부록 2. 중환자 섬망 특성 고찰을 위한 문헌 분석에 사용된 문헌 95 부록 3. 임상 전문가 설문지 98 부록 4. 임상 전문가 면담 결과 102 부록 5. 전문가 내용 타당도 설문지 105 부록 6. 한국 중환자 섬망 선별도구(KICDST) 110 부록 7. 연구 대상자 동의서 112 부록 8. 자료 수집 조사서 114 | - |
dc.language.iso | ko | - |
dc.title | Development of Korean Intensive Care Delirium Screening Tool (KICDST) | - |
dc.title.alternative | 한국 중환자 섬망 선별도구 개발 | - |
dc.type | Thesis | - |
dc.identifier.url | 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9287 | - |
dc.subject.keyword | 중환자 | - |
dc.subject.keyword | 섬망 | - |
dc.subject.keyword | 선별도구 | - |
dc.subject.keyword | 신뢰도 | - |
dc.subject.keyword | 타당도 | - |
dc.subject.keyword | 민감도 | - |
dc.subject.keyword | 특이도 | - |
dc.subject.keyword | Intensive Care | - |
dc.subject.keyword | Delirium | - |
dc.subject.keyword | Screening Tool | - |
dc.subject.keyword | Reliability | - |
dc.subject.keyword | Validity | - |
dc.subject.keyword | Sensitivity | - |
dc.subject.keyword | Specificity | - |
dc.description.degree | Doctor | - |
dc.contributor.department | 대학원 간호학과 | - |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 | 남, 애리나 | - |
dc.date.awarded | 2015 | - |
dc.type.local | Theses | - |
dc.citation.date | 2015 | - |
dc.embargo.liftdate | 9999-12-31 | - |
dc.embargo.terms | 9999-12-31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