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Scipus Cited Count

The study on treatment duration for traction of impacted maxillary canine by elastics derived from skeletal anchorage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 규림-
dc.contributor.author최, 진영-
dc.date.accessioned2015-11-05T07:28:52Z-
dc.date.available2015-11-05T07:28:52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urihttp://repository.ajou.ac.kr/handle/201003/11905-
dc.description.abstract고정성 교정장치를 사용하여 매복치를 견인하는 기존의 방법을 사용하면 치근 흡수와 같은 부작용을 야기할 수 있어 최근 임시 골성 고정원과 고무줄을 사용한 매복치의 견인 방법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골성 고정원과 고무줄을 사용하여 매복 상악 견치를 견인하였을 때 견인 기간과 속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3차원 영상을 이용하여 조사하기 위함이다.

2011년부터 2014년까지 아주대학교병원 치과교정과에 내원한 총 1339명의 환자 중 골성 고정원과 고무줄을 이용하여 매복 상악 견치 견인을 완료한 환자 27명의 치아 31개를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다. 환자의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영상을 CT 분석 프로그램인 Simplant로 계측점, 계측선, 계측평면을 설정한 후 견치 높이, 절치 치축과의 각도, 소구치 치축과의 각도, 교합평면과의 각도, 이동 거리, 인접 절치와의 수평 관계, 인접 절치와의 수직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후 다중 회귀 분석을 통해 매복 견치를 인접치의 절단연 혹은 교합면 높이까지 견인하는 동안 걸린 총 기간과 응급 내원을 포함한 내원 횟수에 대하여 각 항목이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제3대구치를 제외한 매복치가 존재한 환자는 치과교정과에 내원한 전체 환자의 15.68%를 차지했으며 매복 상악 견치의 비율은 39.64%였다. 분석 결과 매복 상악 견치 치축과 인접 소구치 치축 간의 각도, 최종적인 가상의 위치까지 이동 거리, 인접 절치에 기준한 견치 교두첨의 수직적인 높이가 매복 견치를 견인하는 데 소요된 기간 및 환자의 내원 횟수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각 요인들에 대한 회귀식을 얻을 수 있었다.

2차원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에 비해 3차원 CBCT를 이용하면 매복 상악 견치의 위치를 더욱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매복 상악 견치를 골성 고정원과 고무줄을 사용하여 견인하는 경우 기존의 방법에 비해 보다 빠르고 적은 내원 횟수로 견인을 완료할 수 있다. 또한 고정성 교정 장치를 이용하는 기존 방법과는 다른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치근 흡수나 예상치 못한 부작용 등을 방지할 수 있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II. 연구대상 및 방법

A. 연구대상

B. 재료 및 기구

1. 재료

2. 영상 촬영 및 분석 기구

C. 골성 고정원의 식립

1. C-tube 식립

2. 매복 견치 치관의 노출과 button 부착

3. 매복 견치의 견인

D. 자료 분석

1. CBCT 분석

2. 치료 기간 및 내원 횟수

E. 통계

III. 결과

IV. 고찰

V. 결론

참고문헌
-
dc.language.isoko-
dc.titleThe study on treatment duration for traction of impacted maxillary canine by elastics derived from skeletal anchorage-
dc.title.alternative골성 고정원에서 유도된 고무줄을 이용한 매복 상악 견치 견인의 치료 기간에 대한 연구-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0790-
dc.subject.keyword매복치-
dc.subject.keyword상악 견치-
dc.subject.keyword견인-
dc.subject.keyword임시 골성 고정원-
dc.subject.keywordCBCT-
dc.subject.keywordimpacted tooth-
dc.subject.keywordmaxillary canine-
dc.subject.keywordtraction-
dc.subject.keywordtemporary skeletal anchoraged devices(TSADs)-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department임상치의학대학원-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최, 진영-
dc.date.awarded2015-
dc.type.localTheses-
dc.citation.date2015-
dc.embargo.liftdate9999-12-31-
dc.embargo.terms9999-12-31-
Appears in Collections:
Theses > Graduate School of Clinical Dentistry, Department of Clinical Dentisity >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code

해당 아이템을 이메일로 공유하기 원하시면 인증을 거치시기 바랍니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