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Scipus Cited Count

Impact of Caveolin-1 Expression and Microvessel Density on the Prognosis of Upper Urinary Tract Transitional Cell Carcinoma

Other Title
상부요로 이행세포암종에서 Caveolin-1 발현 및 미세혈관밀도의 예후에 대한 영향
Authors
조, 대성
Advisor
김, 세중
Department
대학원 의학과
Degree
Doctor (2007)
Abstract
PURPOSE: Caveolin-1 is a principal component of caveolae membranes and plays a regulatory role in several signal pathways. It may also be crucial in the organization of caveolae of endothelial cells and in regulating endothelial cell differentiation and angiogenesis. Caveolin-1 has been reported to be dysregulated in various human cancers, but the pattern of dysregulation and presumably the role of caveolin-1 appear to vary with tumor type. Caveolin-1 has not previously been studied in upper urinary tract transitional cell carcinoma (UUT-TCC). In this study, I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of caveolin-1 expression and microvessel density (MVD), a reflection of angiogenesis, with prognosis in patients with UUT-TCC. MATERIALS AND METHODS: Formalin-fixed, paraffin-embedded tissue sections of UUT-TCC from 98 patients who had undergone radical nephroureterectomy were stained immunohistochemically with specific antibodies against caveolin-1 and CD34. Caveolin-1 immunostaining was semi-quantitatively evaluated based on proportion (percentage of positive cells) and intensity, and then immunoreactive scores for each case were generated by multiplying the values for the two parameters. A score of 0 was considered as negative, while all other scores were considered as positive. The expression patterns of caveolin-1 and MVD were compared with the various clinicopathological variables, including T stage, N stage, nuclear grade, tumor location, previous history of bladder cancer, coexisting bladder cancer at diagnosis, bladder cancer recurrence during follow-up, and cancer-specific survival. RESULTS: Caveolin-1 expression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T stage (p<0.001) and grade (p=0.036). MVD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T stage (p<0.001), N stage (p=0.002), and grade (p<0.001). Caveolin-1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MVD (p=0.015). The survival rate of patients with positive caveolin-1 expression or high MVD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patients with negative caveolin-1 expression or low MVD, respectively (p<0.0001, p=0.0283). Univariate analyses indicated that T stage, grade, caveolin-1 expression and MVD were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for cancer-specific survival. Multivariate analyses indicated that T stage and caveolin-1 expression were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s for cancer-specific survival. CONCLUSIONS: Increased expressions of caveolin-1 and MVD are associated with poor prognosis in UUT-TCC. Furthermore, caveolin-1 expression was associated with MVD. These results suggest that caveolin-1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progression of UUT-TCC by regulating tumor angiogenesis.

목적: Caveolin-1은 세포막에 존재하는 소포의 주요 구조단백질로서 여러 신호전달경로에서 조절역할을 하며, 혈관 내피세포의 분화 및 혈관형성의 조절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 caveolin-1의 이상 발현이 각종 악성 종양과 연관된다고 보고되고 있지만 종양마다 양상이 달라서 그 역할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으며, 상부요로 이행세포암종에서는 아직 연구된 바 없다. 이에 저자는 상부요로 이행세포암종에서 caveolin-1의 발현과 혈관형성의 척도가 되는 미세혈관밀도 (microvessel density; MVD)를 분석하여 예후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상부요로 이행세포암종으로 근치적 신요관전적출술을 시행받은 환자 중 추적관찰이 가능하였던 98명의 보관된 파라핀 포매 조직을 이용하여 caveolin-1과 CD34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시행하였다. Caveolin-1의 발현정도는 염색부분 (proportion)과 염색강도 (intensity)에 따라 반정량적으로 점수화하였고, 염색점수는 각각의 예에서 염색부분과 염색강도의 값을 곱하여 계산하였다. 염색점수가 0인 경우를 음성으로 정하였고, 그 이상의 염색점수를 가질 때 caveolin-1 발현 양성이라고 정하였다. Caveolin-1의 발현 및 미세혈관밀도와 T 병기, N 병기, 분화도, 종양의 위치, 방광암의 과거력, 진단당시 방광암 동반유무, 추적관찰 중 방광암 발생유무 및 암특이생존율 등의 임상병리학적 변수들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Caveolin-1의 발현은 T 병기 (p<0.001) 및 분화도 (p=0.036)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고, MVD는 T 병기 (p<0.001), N 병기 (p=0.002) 및 분화도 (p<0.001)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 Caveolin-1의 발현은 미세혈관밀도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 (p=0.015). Kaplan-Meier 생존곡선에서 caveolin-1 발현 양성인 환자는 caveolin-1 발현 음성인 환자에 비해 유의하게 생존율의 감소를 보였고 (p<0.0001), 미세혈관밀도가 높은 환자는 미세혈관밀도가 낮은 환자에 비해 유의하게 생존율의 감소를 보였다 (p=0.0283). 암특이생존율에 대한 단변량 분석에서 T 병기, 분화도, caveolin-1의 발현 및 미세혈관밀도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예후인자였고, 다변량 분석에서는 T 병기 및 caveolin-1의 발현이 독립적인 예후인자였다. 결론: Caveolin-1의 발현 및 미세혈관밀도의 증가는 상부요로 이행세포암종에서 불량한 예후와 연관이 있었고, caveolin-1의 발현과 미세혈관밀도 사이에는 유의한 연관성이 있었다. 따라서 caveolin-1은 상부요로 이행세포암종의 진행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그 기전 중에는 혈관형성이 관여하리라 생각한다.
Keywords

Appears in Collections:
Theses > School of Medicine / Graduate School of Medicine > Doctor
Ajou Authors
김, 세중  |  조, 대성
Full Text Link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qrcode

해당 아이템을 이메일로 공유하기 원하시면 인증을 거치시기 바랍니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