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ischemiamodified albumin (IMA) as a new and rapid diagnostic biomarker of ischemic stroke and compare IMA in progression of stroke and non-progression of ischemic stroke.
METHODS: Fifty-two emergency patients with acute neurologic symptoms were admitted to the emergency department within 6 hours of symptom onset (28 Ischemic Stroke Group; SG, 24 Non-Stroke Group; NSG). Blood samples for IMA measurements by albumin cobalt binding test (Ischemia Technology, Denver, U.S.A) were obtained at arrival, and 12 and 24 hours after the onset of symptoms.
RESULTS: The initial mean IMA level was 107.4 (107.4±11.0) U/ml in SG and 86.5 (86.5±8.5) U/ml in NSG, respectively (p <0.001). Fifteen SG patients showed progress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IMA level according to tim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05).
CONCLUSION: IMA may be a new diagnostic biomarker in ischemic stroke. However, it is difficult to be used as a predictive biomarker for progression of ischemic stroke.
목적: 뇌경색이나 허혈성 뇌질환은 빠르고 정확한 진단방법을 필요로 한다. 조직이 허혈상태에 있을 경우 Ischemia-modified albumin(IMA)이 생성된다. 본 연구의 목 적은 IMA가 뇌경색이나 뇌허혈성 질환이 있을 때의 변화를 관찰하여 허혈성 뇌질 환을 초기에 빠르게 진단할 수 있는 생리학적 지표로써의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6시간 이내에 발생한 신경학적 증상을 주소로 내원한 52명을 대상으 로 하였다. 모든 대상들은 두경부 전산화 촬영과 두경부 자기 공명 촬영을 시행하였 다. 영상 검사에서 뇌경색의 증거가 있는 경우가 28명이었고 이 군을 뇌경색군이라 명명하였고 영상 검사에서 뇌경색의 증거가 없는 경우는 24명으로 이 군을 비뇌경 색군이라 명명하였다. 내원시, 증상발현 12시간 후, 증상발현 24시간 후에 각 환자 에서 IMA를 측정하였다. 통계학적 검증은 통계 프로그램인 SPSS 12.0 (SPSS Inc., USA)과General+Clinical laboratory statistics version 1.73(Analyse-it software, Ltd., England United Kingdom)를 이용하였다.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curve를 이용하여 판정 기준치(cutoff value)를 산출하였고, Mann-Whitney U test, Chi-square test를 이용하여 뇌경색군과 비뇌경색군의 IMA 수치를 비교하였다. 진 행성 뇌경색군과 비진행성 뇌경색군을 비교하기 위하여 two-sample Kolmogorov- Smirnov Z를 이용하였다.
결과: 뇌경색군과 비뇌경색군의 평균 연령은 각각 59.3(59.3±16.5), 61.3(61.3±16.2) 이었다. 통계학상 의미가 없었다 (p>0.05). 뇌경색군과 비뇌경색군의 내원시 IMA 수치는 107.4(107.4±10.68) U/ml, 82.0(82.0±9.86) U/ml이었다. 각군의 IMA 수치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 (p<0.001). 뇌경색군의 내원 당시, 증상 발현 12시간, 24 시간 뒤의 IMA 수치는 각각 107.4(107.4± 10.68)U/ml, 105.3(105.3±13.9) U/ml, 109.5(109.5±10.8)U/ml)이었다. 가장 적절한 판정기준치는 98 U/ml이었다. 뇌경색 군에서 각 시간대에 따른 IMA 수치는 뇌경색의 진행 유무에 관계없이 통계학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p>0.05). 본 연구에서 혈전 용해제 혹은 관혈적 재개통술을 시행 한 환자는 총 4명이었고 투약 혹은 시술 후에 IMA 수치는 떨어지는 양상을 보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하여 뇌경색 환자는 IMA가 증가하며, 뇌경색이 진행되는 상황 에서도 IMA는 증가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IMA는 허혈성 뇌경색에서 빠르게 진단할 수 있는 생화학적 지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