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Scipus Cited Count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associated Factors in the Elderly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 은현-
dc.contributor.author엄, 정화-
dc.date.accessioned2016-12-04T23:52:49Z-
dc.date.available2016-12-04T23:52:49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urihttp://repository.ajou.ac.kr/handle/201003/1309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노인들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시도된 상관관계 연구이다. 치과치료를 위해 경기도 소재 일개 대학병원 치과와 서울시 소재 치과의원에 내원하는 만 65세 이상 노인환자 119명에게 구강건조증, 저작능력,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척도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고, 잔존치아 수와 의치 장착 여부는 환자의 의무기록지를 통해 작성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version 19.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변량분석결과 성별과 최종학력, 당뇨병 유무와 의치 장착 여부, 구강건조증, 저작능력, 잔존치아 수는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관련요인으로 나타났다. 성별은 여자보다 남자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최종학력은 초졸이 중졸과 고졸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당뇨병 유무의 경우 당뇨병이 없는 대상자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의치 장착 여부 또한 의치를 장착하지 않는 대상자가 유의하게 높았다. 구강건조증과 저작능력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잔존치아 수와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최종적으로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예측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구강건조증, 저작능력, 잔존치아수가 예측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분산의 71.7%(R2=.717)를 설명하였다.

따라서 향후 노인들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증진을 위하여 구강건조증을 감소시키고, 저작능력, 잔존치아 수를 늘리기 위한 적극적인 예방 및 치료가 필요하다. 또한 노인들의 구강건강을 유지, 증진시키기 위한 자가 관리프로그램 및 인식변화를 위한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3

3. 용어의 정의 3



Ⅱ. 문헌고찰 5

1. 노인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5

2. 노인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 7



Ⅲ. 연구방법 11

1. 연구 설계 11

2. 연구대상자 및 표본 11

3. 자료수집방법 및 절차 11

4. 연구 도구 12

5. 분석 방법 15



Ⅳ. 연구결과 16

1. 대상자의 특성 16

2. 질병관련 특성 18

3. 주요변수에 대한 기술통계 분석 19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차이 20

5. 대상자의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차이 22

6. 구강건조증, 저작능력, 잔존치아 수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상관관계 23

7. 노인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4



Ⅴ. 고찰 26



Ⅵ. 결론 31



참고문헌 33

부록 44

영문초록 55
-
dc.language.isoko-
dc.title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associated Factors in the Elderly-
dc.title.alternative노인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과 관련요인-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3034-
dc.subject.keyword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dc.subject.keyword구강건조증-
dc.subject.keyword저작능력-
dc.subject.keyword잔존치아 수-
dc.subject.keyword노인-
dc.subject.keywordOHIP-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department보건대학원-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엄, 정화-
dc.date.awarded2016-
dc.type.localTheses-
dc.citation.date2016-
dc.embargo.liftdate9999-12-31-
dc.embargo.terms9999-12-31-
Appears in Collections:
Theses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Deartment of Public Health >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code

해당 아이템을 이메일로 공유하기 원하시면 인증을 거치시기 바랍니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