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Scipus Cited Count

Clinical and laboratory findings of childhood buckwheat allergy in a single tertiary hospital

Other Title
소아 메밀 알레르기 환자에서 특이항체와 임상증상과의 상관성
Authors
박, 규정
Advisor
이, 수영
Department
대학원 의학과
Degree
Master (2017)
Abstract
PURPOSE: Although buckwheat allergy is one of the most severe food allergies in some countries, especially in children, few studies have investigated this condi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report clinical and laboratory findings of buckwheat allergy in Korean children.
METHODS: Thirty-seven subjects, aged 1 to 14 years, were enrolled by retrospective medical record review from January 2000 through May 2015 at the Department of Pediatrics in Ajou University Hospital. Demographic profiles, previous exposure to buckwheat pillows, clinical symptoms, and laboratory findings were recorded.
RESULTS: Twenty-six out of 37 children had immediate-type allergic symptoms to buckwheat, while 11 subjects were tolerant to buckwheat. Seventeen (65.4%) out of 26 buckwheat allergic children had anaphylaxis. The median buckwheat specific immunoglobulin E level in the buckwheat allergic group (7.71 kUA/L) was significantly higher (P<0.001) than that in the buckwheat tolerant group (0.08 kUA/L) with an optimal cut-off value of 1.27 kUA/L (sensitivity 84.6%, specificity 100%). When adjusted for age between two groups, the difference showed borderline significance (P=0.063). In subjects who had anaphylaxis, buckwheat-specific immunoglobulin E levels ranged from 0.37 kUA/L to 100 kUA/L.
CONCLUSION: Almost two-thirds of buckwheat-allergic children had anaphylaxis. Amongst these children, a wide-range of buckwheat specific immunoglobulin E levels were observed. Anaphylaxis occurred in a subject with a remarkably low level of immunoglobulin E (0.37 kUA/L).

목적: 메밀 알레르기는 소아에서 심한 증상을 유발하는 식품알레르기의 원인 중 하나이나, 연구가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소아청소년의 메밀 알레르기에 대한 임상적 증상과 메밀 특이항체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2000년 1월부터 2015년 5월까지 아주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를 방문한 1세부터 14세까지의 소아청소년 중 메밀 특이항체 검사를 시행한 환아 37명을 대상으로 임상증상, 메밀 베개 사용 유무, 메밀 특이항체의 수치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결과: 37명 중 26명은 메밀에 노출 후 즉시형 알레르기 반응을 경험(메밀 알레르기 군)하였고, 11명은 반응이 없었다(메밀 내성군). 26명 중 17명(65.4%)에서 아나필락시스 반응을 보였다. 메밀 알레르기 군의 메밀 특이항체 중간값은 7.71 kUA/L로 메밀 내성군(0.08 kUA/L)과 유의한 차이(P<0.001)를 보였고 가장 최적의 절사값(optimal cut-off value)은 1.27 kUA/L 였다(민감도 84.6%, 특이도 100%). 연령 보정 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063). 메밀에 노출 후 아나필락시스가 발생한 군은 특이항체의 범위가 0.37 kUA/L부터 100 kUA/L였다.
결론: 메밀 알레르기 군의 약 2/3에서 아나필락시스가 발생하였다. 아나필락시스가 발생한 군의 혈청 메밀 특이항체는 그 범위가 넓었고, 매우 낮은 농도(0.37 kUA/L)에서도 아나필락시스가 유발되었다.
Keywords

Appears in Collections:
Theses > School of Medicine / Graduate School of Medicine > Master
Ajou Authors
박, 규정  |  이, 수영
Full Text Link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qrcode

해당 아이템을 이메일로 공유하기 원하시면 인증을 거치시기 바랍니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