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Scipus Cited Count

A comparison of contrast patterns of lumbar transforaminal injection in terms of volume

Other Title
요추 경추간공 경막외강 약물 주입시 약물의 용량에 따른 조영상의 비교
Authors
조, 혜원
Advisor
김, 찬
Department
대학원 의학과
Degree
Master (2010)
Abstract
BACKGROUNDS: Lumbar transforaminal epidural injections(LTEIs) have been widely utilized in the treatment of radicular pain. LTEIs is considered to be most target-specific with the least volume in fulfilling the aim of reaching the primary site of pathology. However, there have been no studies on the proper volume of injection needed in LTEIs. We studied the contrast spreading patterns after LTEIs with 1 ml, 2 ml, 3 ml of the contrast media and normal saline.
METHODS: A total of 65 patients with spine or non-spine diseases were selected. Fluoroscopic guided LTEIs were performed consecutively with 1 ml(n=16) and 2 ml(n=17) and 3 ml(n=32) volume of mixture containing 2 ml of Iopaminol (0.7552 g/ml) and 1 ml of normal saline. Patterns were recorded as a nerve root filling, a nerve root filling with unilateral epidural spreding or a nerve root filling with bilateral or cylinderic epidural spreading. A number of vertebral spreading segments of contrast media cephalad and caudad were recorded as well.
RESULT: Total vertebral spreading segments of contrast media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each group. The number of patients that the contrast flow was limited to the targeted single vertebral 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 in 1 ml and 2 ml group than in 3 ml group.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number of patients with only nerve root filling between the three groups. Only four patients (6.1%) out of total showed the only nerve root filling. Most of the patients in 1 ml and 2 ml groups showed nerve root filling with unilateral epidural spreading. The number of patients with nerve root filling with bilateral epidural spreading patter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hree groups, however, higher number of the group 3 patients revealed this pattern.
CONCLUSION: An injectate volume of less than or equal to 2ml is proper volume that can spread selectively onto the targeted single nerve root and ipsilateral epidural space of pathologic segmental level in LTEI. An injectate volume of less than 1.0 ml is needed when performing diagnostic LTEIs in which selective spread of injectate around targeted nerve root only should be obtained.

배경: 요부 경막외강에 접근하는 세 가지 방법 중, 요추 경추간공 경막외강 접근법은 가장 적은 약제 용량으로 요추의 퇴행성 질환과 연관되어 가장 흔히 병변이 발생하는 경막외강의 전방 및 외측과 신경근으로 약물이 쉽게 도달할 수 있는 목표 특이적인 방법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경추간공 경막외강 주입법에서 약물 주입 용량에 따른 약물 분포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으며, 임상적으로 적절한 치료 약물 용량에 대한 연구가 보고된 바가 없다. 이에 저자들은 요부 신경근 병증을 보이는 환자에서 영상장치를 이용한 요추부의 경추간공 경막외강내 약물 주입술을 시행하여 용량에 따른 조영제의 퍼짐 양상을 분석하고 임상적으로 적절한 약물 용량을 찾고자 하였다.
방법: 척추질환이나 비척추질환으로 인한 요추 신경근병증성 통증을 가진 65명의 환자에서 영상장치하에 요추 경추간공 경막외강 주입술을 시행하였으며 조영제2 ml와 생리 식염수 1 ml의 혼합액중 1군은 1 ml, 2군은 2 ml 그리고 3 군은 3 ml를 주입하였다. 조영상은 신경근에만 조영제의 퍼짐이 있는 경우를 pattern 1, 신경근과 편측 경막외강에 조영제의 퍼짐이 있는 경우를 pattern 2, 신경근과 양측 경막외강이나 전체 경막외강을 원기둥 모양으로 적신 경우를 pattern 3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차단 바늘을 삽입한 척추체로부터 두측 및 미측으로 조영제가 퍼지는 척추의 분절수를 기록하였다.
결과: 경막외강에 주입된 조영제가 전체 척추에 분포된 척추 분절수는 세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조영제가 신경근은 지나 시술을 행한 해당 척추체의 경막외강에만 퍼진 경우는 1 ml, 2 ml군에서 3 ml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신경근으로만 조영제가 퍼진 경우는 세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전체 환자중 4명(6.1%)에서만 신경근으로만의 퍼짐양상을 보였다. 신경근과 편측 경막외강으로 조영제가 퍼진 경우는 1 ml, 2 m군에서 3 ml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 1 ml, 2 ml군은 대부분의 환자에서 신경근과 편측 경막외강으로 조영제가 퍼지는 양상을 보였다. 신경근과 양측 경막외강으로 조영제가 퍼진 경우는 세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1 ml, 2 ml군에 비해 3 ml군에서 양측으로 퍼짐이 많은 경향을 보였다.
결론: 요추부 신경근 병증이 있을 때 경추간공 경막외강 접근법으로 병변이 있는 신경근과 그 척추 분절의 편측 경막외강을 선택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적절한 용량은 2 ml 이하라고 생각되며, 신경근에만 약물이 주입되어야 하는 진단적 목적의 시술을 할 때는 1 ml 미만의 용량이 필요하다.
Keywords

Appears in Collections:
Theses > School of Medicine / Graduate School of Medicine > Master
Ajou Authors
김, 찬  |  조, 혜원
Full Text Link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qrcode

해당 아이템을 이메일로 공유하기 원하시면 인증을 거치시기 바랍니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