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Scipus Cited Count

A study on the Morphologic Change of Palatal Alveolar bone shape after Intrusion and Retraction of Upper incisors

Other Title
상악전치의 후방견인과 함입 후의 구개측 치조골 형태변화에 대한 연구
Authors
손, 은정
Advisor
채, 화성
Department
임상치의학대학원
Degree
Master (2019)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hanges in the palatal alveolar bone thickness and find the factors related to the absorption of the palatal alveolar bone caused by tooth movement when the upper incisors were retracted and intruded during orthodontic treatment.
MATERIALS AND METHODS: 33 skeletal Class II malocclusion Korean female patients (from 14 to 49 years) who underwent extraction for orthodontic treatment in an orthodontic clinic were included. The changes of palatal alveolar bone thickness and factors associated with palatal alveolar bone resorption were identified and analyzed. The changes of maxillary central incisor and palatal alveolar bone thickness were measured, and the corresponding sample Ttest was performed using SPSS (IBM SPSS version22). The palatal alveolar bone absorption was measured and various parameters were applied to determine which factors affected it.
RESULTS: The alveolar bone in the labial side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showed more remodeling compared to the palatal side of the bone. The change of palatal alveolar bone thickness following the retraction of maxillary central incisors was measured and the correspondence sample T-test analysis showed that the change in the movement of the area up to 8mm from CEJ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before and after treatment showed an average controlled tipping. The changes of palatal alveolar bone thickness showed that alveolar bone was absorbed more toward the cervical region. Correlation analysis adopting the amount of palatal alveolar bone absorption as a dependent variable demonstrated that the SNB, mandibular plane angle, inclination of the upper incisor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before treatment and mandibular plane angle, angle of convexity, inclination of the upper incisor, occlusal plane (UOP, POP)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of post-treatment. Besides, the variables related to palatal contour (PP to PAS, SN to PAS, palatal surface angle) and occlusal planes (UOP/POP)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difference of palatal bone absorption between before and after treatment.
CONCLUSION: During incisors retraction and intrusion, palatal alveolar bone loss increased close to the cervical region mostly. In initial diagnosis, high angle class II with normal upper incisors inclination can be signs of high-risk factors. Besides, maintaining occlusal plan during the treatment helps to prevent palatal bone loss.

서론: 본 연구의 목적은 돌출입 환자의 소구치 발치 교정치료시 상악 전치를 후방견인과 함입을 하였을때 치아 이동에 따른 구개측 치조골 두께의 변화와 구개측 치조골 흡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측모 두부 방사선 계측치를 통하여 알아보고자 하기 위함이다.
재료 및 방법: 한 교정전문 clinic에 내원한 Class II 돌출입 환자들 중 소구치 발치 교정치료를 한 3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 전 후 측모 두부 방사선 사진을 측정하여 상악 중절치의 이동에 따른 구개측 치조골 두께의 변화와 구개측 치조골 흡수와 연관된 요인을 찾아 분석하였다. 상악 중절치의 이동량과 구개측 치조골 두께를 측정하고 SPSS(ibm spss version22)를 사용하여 대응표본 T 검정분석을 하였고, 또한 구개측 치조골 흡수량을 측정한 후 여러가지 변수들을 대입하여 어느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지 상관분석을 하였다.
결과: 1) 교정 전후 상악중절치의 labial side 와 palatal side 의 각도 측정결과 labial side가 Palatal side 보다 치아의 이동에 따른 치조골이 잘 따라오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2) 상악중절치의 후방이동양에 따른 구개측 치조골 두께의 변화를 측정하여 대응표본 T 검정분석을 한 결과 교정 전 후 상악중절치의 CEJ부위에서부터 2mm씩 8mm까지 올라간 부위의 이동 변화량으로 보아 치아는 평균적으로 controlled tipping 으로 이동했음을 관찰할 수 있었고 구개측 치조골 두께의 변화는 cervical 부위로 갈수록 치조골의 흡수가 많이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3) 구개측 치조골의 흡수량을 종속변수로 한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시행한 결과 교정 전은 SNB, Mandibular plane, 구개측 치조골표면과 상악전치 치축과의 각도, 구개측 치조골의 면적, 상악전치 경사도 값(SN to U1)이 구개측 치조골의 흡수량과 유의한 관계가 있었고, 교정 후는 SNB, 상악전치 경사도(FH to U1, SN to U1), Mandibular plane angle, angle of convexity, 교합평면 중 상악전치부(UOP)와 하악구치부(POP)교합평면 값이 구개측 치조골의 흡수량과 유의한 관계가 있었으며, 교정 전 후 차이에서는 구개측 치조골의 만곡도(PP to PAS, SN to PAS, palatal surface angle)의 각도차이와 교합평면 중 UOP와 POP 차이값이 구개측 치조골의 흡수량과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결론: 교정 전후 상악중절치의 labial alveolar bone은 palatal alveolar bone 보다 remodeling 이 잘 되며, 구개측 치조골의 두께는 교정 후 cervical 부위에서의 흡수량이 가장 많았고, 구개측 치조골 손실이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증례는 교정 전 Class II 골격의 high angle이면서 상악전치의 각도가 정상이고 구개측 치조골의 면적이 작은 경우이며 교정 후 steep 한 상, 하악의 교합평면(UOP, POP)과 연관이 있었다.
Keywords

Appears in Collections:
Theses > Graduate School of Clinical Dentistry, Department of Clinical Dentisity > Master
Ajou Authors
손, 은정  |  채, 화성
Full Text Link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qrcode

해당 아이템을 이메일로 공유하기 원하시면 인증을 거치시기 바랍니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