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Scipus Cited Count

Failure of monotherapy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The Korean National Diabetes Program

Other Title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경구혈당강하제 단독요법 실패율
Authors
전, 자영
Advisor
이, 관우
Department
대학원 의학과
Degree
Doctor (2019)
Abstract
AIMS: We investigated the failure of monotherapy in patients with type 2 DM in real practice settings.
METHODS: The Korea National Diabetes Program was a prospective, multicenter observational cohort study of type 2 DM patients in Korea. Of the 3,950 patients enrolled in the study, we studied 998 who were continuously maintained on monotherapy for at least 90 days at six participating centers. To balance the baseline characteristics of patients in each group, we employed propensity-matching at a 1:1 ratio (metformin vs. sulfonylureas) and 4:1 ratios (metformin vs. meglitinides and metformin vs. alpha-glucosidase inhibitors [aGIs]). The hazard ratios of treatments (compared with metformin) were determined via Cox’s proportional hazards regression modeling.
RESULTS: The median follow-up time was 56 months and monotherapy failed in 45% of all patients. The annual incidences of failure were 15.6%, 21.3%, 27%, and 9.6% in the metformin, sulfonylurea, meglitinide, and aGI groups. Compared with metformin, sulfonylureas and meglitinides were associated with higher risks of monotherapy failure (HR 1.39, CI 1.08–1.80; HR 1.92, CI 1.13–3.27) and aGIs with risk similar to that of metformin (HR 0.80, CI 0.44–1.45). When analyzed by failure type, sulfonylureas, meglitinides and aGIs were associated with a higher risk of a switch to other agents (HR 4.43, CI 2.14–9.17; HR 18.80, CI 6.21–56.93; HR 4.25 CI 1.49–12.13) and aGIs with a lower risk of prescription of add-on second agents (HR 0.16, CI 0.04–0.64).
CONCLUSIONS: Metformin was associated with a lower failure risk than were sulfonylureas and meglitinides, but a comparable aGI failure rate.

목적: 본 연구는 실제 임상현장에서 2형 당뇨병 환자의 경구혈당강하제 단독요법의 실패율을 비교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Korean National Diabetes Program (KNDP) 은 제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된 전향적, 다기관 관찰연구이다. 본 연구는 KNDP 에 모집된 3950명의 환자 중에서 최소 90일 이상 단독요법을 지속적으로 시행받은 99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각각의 단독요법을 시행받은 군의 기본 특성을 맞추기 위하여 메트포르민 단독요법군과 설폰요소제 단독요법군은 1대1 비율로, 메트포르민 단독요법군과 메글리티나이드 단독요법군은 4대1 비율로, 메트포르민 단독요법군과 글루코시데이트 억제제 단독요법군은 4대 1의 비율로 성향점수 매칭 (propensity-score matching)을 이용하였다. 각 단독요법군의 치료 실패율을 비교하기 위하여 Cox 비례위험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추적관찰 기간의 중앙값은 56개월이었고 대상환자의 45%에서 단독요법 실패를 경험하였다. 각 단독요법의 연간 치료 실패율은 메트포르민 단독요법군에서는 15.6%, 설폰요소제 단독요법군에서는 21.3%, 메글리티나이드 단독요법군에서는 27%, 그리고 글루코시데이즈 억제제 단독요법군에서는 9.6% 를 보였다. 메트포르민 단독요법군과 비교시 설폰요소제 단독요법군과 메글리티나이드 단독요법군은 치료 실패율이 의미있게 높았고 (HR 1.39, 95% CI 1.08-1.80; HR 1.92, 95% CI 1.13-3.27) 글루코시데이즈 억제제 단독요법군의 치료 실패율은 비슷하였다 (HR 0.80, 95% CI 0.11-1.45). 치료 실패유형에 따라 구분하였을 때, 메트포르민 단독요법군에 비하여 설폰요소제 단독요법군, 메글리티나이트 단독요법군과 글루코시데이즈 억제제 단독요법군은 다른 약제로의 변경이 많았고 (HR 4.43, CI 2.14–9.17; HR 18.80, CI 6.21–56.93; HR 4.25 CI 1.49–12.13) 글루코시데이즈 억제제는 이차약제 추가하는 경우가 적었다 (HR 0.16, CI 0.04–0.64).
결론: 메트포르민 단독요법은 설폰요소제 단독요법 및 메글리티나이트 단독요법에 비하여 치료 실패율이 낮았고 글루코시데이즈 억제제의 치료 실패율과는 유사하였다.
Keywords

Appears in Collections:
Theses > School of Medicine / Graduate School of Medicine > Doctor
Ajou Authors
이, 관우  |  전, 자영
Full Text Link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qrcode

해당 아이템을 이메일로 공유하기 원하시면 인증을 거치시기 바랍니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