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Scipus Cited Count

Development and Effect of a Physical Activity Program in Obese Older Adults with Knee Osteoarthritis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 춘자-
dc.contributor.author김, 정숙-
dc.date.accessioned2019-12-24T06:30:45Z-
dc.date.available2019-12-24T06:30:45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urihttp://repository.ajou.ac.kr/handle/201003/17914-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the effect of a physical activity program based on Information-Motivation-Behavioral Skills(IMB) model for obese older adults with Knee osteoarthritis. An IMB model-based preliminary program was first designed after conducting a literature review on physical activity program for obese older adults with knee osteoarthritis. The preliminary program was reviewed by expert panels and a pilot test was conducted to verify its constructs, contents and feasibility, through which a 12-week 12-session physical activity promotion program was finally developed. To test the effect of the developed program, conducted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with two-group pretest-posttest design between April and July 2018. Seventy-five obese older adults with knee osteoarthritis who visited the Osteoarthritis Center in a university hospital were recruited via convenience sampling. The effect of the developed program was measured by self-efficacy for physical activity, level of physical activity, knee joint function, indicators of obesity and metabolism(visceral fat areas, triglycerides,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and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for insulin resistance),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12-week 12-session physical activity program and received weekly monitoring calls, education booklets and video clips of exercise dance, while the control group received current standard treatment and were provided with 4-week intervention program and educational materials after the posttest.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the study results. As a result of ANCOVA and Mann-Whitney U test, self-efficacy for physical activity(F=81.92, p<.001), levels of physical activity(Z=-2.21, p=.044), knee joint function(F=15.88, p<.001), visceral fat areas(F=7.57, p=.008) and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F=9.51, p=.003), which are indicators of obesity and metabolism;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scores(F=14.89, p<.001) ha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level of triglycerides, a metabolic indicator, de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increased in the control group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F=0.002, p=.965).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for insulin resistance decreased in both groups with(F=0.34, p=.563). The 12-week physical activity program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promoting self-efficacy for physical activity and level of physical activity, thus contributing the better health-related outcomes in obese older adults with knee osteoarthritis.-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슬관절염 비만노인을 위한 Information-Motivation-Behavior Skills (IMB)모델 기반한 신체활동증진 프로그램을 개발․적용하여 그 효과를 신체활동에 대한 자기효능감, 신체활동량, 슬관절기능상태지표, 비만‧대사관련 지표 및 건강관련 삶의 질로 파악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2018년 4월부터 7월까지 A 대학병원 골관절염센터에 내원하는 슬관절염 노인 75명을 편의추출하여 무작위 대조군 전후설계의 실험연구를 시행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는 신체활동에 대한 자기효능감, 신체활동량, 슬관절기능상태지표, 비만‧대사지표(내장지방단면적, 중성지방, 고밀도콜레스테롤, 인슐린저항성) 및 건강관련 삶의 질로 검증하였다. 실험군은 개발된 IMB 모델 기반의 12주 신체활동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하였고, 대조군은 평상시 생활 그대로 하였으며 사후조사 후 교육자료를 제공하였다. 자기효능감, 신체활동량, 슬관절기능상태 및 건강관련 삶의 질은 설문지를 이용하여 각각 관절염 대상자-특이형 신체활동에 대한 자기효능감(Kim, 2016), 국제신체활동설문지(2004), K-WOMAC Index (Bae 등, 2001), The EuroQol Group(1990)의 건강관련 삶의 질 도구로 측정하였고, 비만‧대사지표는 신체계측과 혈액검사로 측정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활동 증진프로그램은 슬관절염 비만노인의 IMB모델 기반 신체활동에 대한 정보제공과 내적동기, 사회적 지지와 신체활동관련 국제적 지침과 문헌고찰에 근거하여 12주 예비프로그램을 작성하였다. 예비프로그램은 전문가 집단을 이용한 내용타당도와 슬관절염 비만노인에게 임상타당도를 검증한 후 이를 반영하여 12주 IMB 모델 기반 신체활동 증진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둘째, 프로그램의 효과검증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2주 신체활동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프로그램 참여 후 신체활동의 자기효능감(F=81.92, p<.001), 신체활동량(Z=-2.21, p=.044), 슬관절기능상태지표(F=15.88, p<.001) 및 건강관련 삶의 질(F=14.89, p<.001)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비만‧대사지표에서는 내장지방단면적(F=7.57, p=.008)과 고밀도콜레스테롤(F=9.51, p=.003)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개선되었으나, 중성지방과 인슐린 저항성은 실험군이 더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965; p=.563). 이상의 결과에서 12주 IMB 모델 기반 신체활동 증진 프로그램은 신체활동의 자기효능감, 신체활동량, 슬관절기능상태 및 건강관련 삶의 질 개선과 비만‧대사지표(내장지방단면적 및 고밀도콜레스테롤)의 개선에 유의한 효과가 있음을 파악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은 슬관절염 비만노인의 신체활동량과 슬관절 기능상태 개선을 위한 효과적인 중재방법으로 실무에 적용가능하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비만‧대사지표를 포함한 신체활동 증진프로그램의 장기적인 개선효과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종단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4
C. 연구의 가설 5
D. 용어의 정의 6
Ⅱ. 문헌고찰 9
A. 슬관절염 비만노인의 건강문제 9
B. 노인을 위한 신체활동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12
C. IMB 모델과 신체활동프로그램 17
Ⅲ. 이론적 기틀 21
Ⅳ. 연구방법 24
A. 연구설계 24
B. 연구대상자 25
C. 연구도구 28
D. 신체활동 증진 프로그램 개발 33
E. 자료수집 방법 및 연구진행 41
F. 자료분석 방법 49
G. 내외적 타당도 50
H. 윤리적 고려 51
Ⅴ. 연구결과 52
A.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 검증 52
B. 연구의 가설검증 59
Ⅵ. 논의 66
A. 신체활동증진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66
B. 신체활동증진 프로그램의 효과검증 69
C. 연구의 의의 74
Ⅶ. 결론 및 제언 75
A. 결론 75
B. 제언 77
참고문헌 78
부록 98
ABSTRACT 133
-
dc.language.isoko-
dc.titleDevelopment and Effect of a Physical Activity Program in Obese Older Adults with Knee Osteoarthritis-
dc.title.alternative슬관절염 비만노인을 위한 신체활동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8831-
dc.subject.keywordKnee osteoarthritis-
dc.subject.keywordObesity-
dc.subject.keywordOlder adults-
dc.subject.keywordPhysical activity-
dc.subject.keywordIMB(Information-Motivation-Behavior Skills) model-
dc.subject.keyword노인-
dc.subject.keyword비만-
dc.subject.keyword신체활동증진-
dc.subject.keyword슬관절염-
dc.subject.keywordIMB(Information-MotivationBehavior Skills) 모델-
dc.description.degreeDoctor-
dc.contributor.department대학원 간호학과-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김, 정숙-
dc.date.awarded2019-
dc.type.localTheses-
dc.citation.date2019-
dc.embargo.liftdate9999-12-31-
dc.embargo.terms9999-12-31-
Appears in Collections:
Theses > College of Nursing Science > Docto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code

해당 아이템을 이메일로 공유하기 원하시면 인증을 거치시기 바랍니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