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Scipus Cited Count

Relationship among Rotation Attitude, Job Satisfaction and Job Stress of Job Rotation Nurses

Other Title
부서이동간호사의 부서이동태도와 직무만족도 및 직무스트레스의 관계
Authors
김, 은지
Advisor
현, 명선
Department
대학원 간호학과
Degree
Master (2019)
Abstract
본 연구는 부서이동간호사의 부서이동태도, 직무만족도 및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2개 대학병원에 재직하는 간호사 중 부서이동 시행 후 1년 이내 간호사 155명이며 자료수집기간은 2018년 4월16일부터 4월30일까지로 병원 간호부에 협조를 구한 후 승인을 받고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부서이동태도는 손영길(1995)이 개발하고 황병랑(2008)이 수정, 보완한 도구, 직무만족도는 Slavitt(1978)가 개발하여 우리나라에서 조지선(2009)이 수정, 보완한 도구, 직무스레스는 김매자와 구미옥(1985)이 개발하고 최영진(2009)이 수정, 보완한 도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및 Scheff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보면 여자가 139명(89.7%)으로 대부분 차지하였고 26~30세가 67명(43.2%)으로 가장 많았으며 미혼자가 81명(52.3%), 최종 학력은 학사 졸업이 105명(67.7%), 직위에서는 일반간호사가 121명(78.1%), 현 부서경력은 3개월 이하가 50명(32.3%), 부서이동경험 경험은 1회가 126명(81.3%), 다른계열 부서로 이동이 85명(54.8%)으로 가장 많았다. 자발적이지 않은 부서이동이 84명(54.2%)이었고, 부서이동시 희망하는 부서는 외래가 77명(49.7%), 정기적인 부서이동을 원하지 않은 대상자가 114명(73.5%), 적절한 부서이동 주기는 5~6년이 57명(36.8%), 새로운 병동에 적응하는 시기는 1년이 87명(56.1%)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부서이동태도의 평균평점은 2.97±0.39점, 직무만족도 평균평점은 2.89±0.35점, 직무스트레스 평균평점은 3.82±0.54점이었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부서이동태도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자발적 부서이동 희망여부(t=4.96, p<.001), 정기적인 부서이동 여부(t=2.92,p=.004)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학력(F=4.99, p=.008), 임상 총 경력(F=3.20, p=.025), 자발적 부서이동(t=2.51, p=.013), 이동시 희망부서(F=2.98, p=.033)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연령(F=2.99, p=.033), 적절한 부서이동주기(F=3.44, p=.019)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6. 대상자의 부서이동태도와 직무만족도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r=.494, p<.001), 부서이동태도와 직무스트레스 간에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392, p<.001). 또한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251, p<.001).
이상의 연구결과를 볼 때 부서이동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직무만족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직무스트레스가 유의하게 낮았다. 따라서 부서이동 후 1년 이내 간호사의 긍정적인 부서이동태도와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키고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새로운 부서의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과 정책마련이 필요하며 이는 간호부서의 효율적인 인사관리에 도움을 주고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키며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Appears in Collections:
Theses > College of Nursing Science > Master
Ajou Authors
김, 은지  |  현, 명선
Full Text Link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qrcode

해당 아이템을 이메일로 공유하기 원하시면 인증을 거치시기 바랍니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