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Scipus Cited Count

Hemodynamic Changes after Endotracheal Intubation with Colloid Loading in Patients with Cerebral Aneurysm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문, 봉기-
dc.contributor.author주, 은진-
dc.date.accessioned2011-03-24-
dc.date.available2011-03-24-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urihttp://repository.ajou.ac.kr/handle/201003/1895-
dc.description.abstract"마취유도 시 후두경 조작과 기도삽관은 환자에게 고혈압과 빈맥을 유발할 수 있다(Morgan, 2006). 뇌동맥류 환자에서 고혈압과 빈맥은 뇌동맥류의 파열을 야기할 수 있고 이는 환자의 치사율을 증가 시키므로(Mendleson, 1946) 뇌동맥류 파열 방지를 위하여 혈역학적 변화를 최소화하는 것은 중요하다. Sevoflurane을 사용한 마취유도 시 적정농도는 2.5% (1.5 MAC)이라고 알려져 있으며 이 농도에서는 기도삽관에 의한 고혈압과 빈맥의 빈도는 줄일 수 있으나, 심한 저혈압을 초래할 수 있다. 뇌동맥류 환자 마취 유도시 심한 저혈압 또는 고혈압은 환자에게 치명적인 후유증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혈역학적 변화를 최소화 하는 것이 중요하다. 뇌동맥류 환자의 마취 유도시 혈역학적 변화를 최소화 하기 위하여 수술 전 충분한 수액 투여가 권장되고 있으나(Morgan, 2006) 유용성에 대한 정확한 연구는 아직 미흡한 상황으로 뇌동맥류 환자의 마취 유도시 수술 전 교질액 투여가 혈역학적 변화를 감소시키는데 기여할 것으로 예측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뇌동맥류 결찰술이 예정된 환자 29명을 대상으로 무작위로 마취유도 전에 교질액을 투여 받지 않는 대조군(Group 1, n=15)과 마취유도 전 교질액을 투여 받는 교질액군(Group 2, n=14)으로 정하였다. 대상환자의 성별과 나이, 체중은 두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수술방 도착시 직접 혈압 감시, 심전도, 맥박, 산소포화도를 측정하였다. 마취유도를 위해 대조군은 thiopental (4mg/kg)과 fentanyl (2μg/kg)을 정주하였고, 의식소실 후 vecuronium (0.1mg/kg)을 정주한 후, 100% 산소 6L 와 5% sevoflurane 으로 정상이산화탄산농도를 유지하며 용수조절 환기한 후 sevoflurane 1.5 MAC (PET sevoflurane 2.5 %, 호기말농도)에 도달하면 lidocaine (1mg/kg)을 정주한 후 기관내 삽관 하였다. 교질액군은 교질액 5 ml/kg (5% albumin)을 투여한 후 대조군과 같은 방법으로 마취유도를 시행하여 기관내 삽관을 하였다. 기관내 삽관에 따른 혈압 및 심박수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양군에서 수술방 도착시, 기관내 삽관 시도 직전, 기관내 삽관 후 1, 2, 3, 4, 5분의 수축기 혈압, 이완기 혈압, 평균 혈압과 심박수를 기록하였다.

대조군에서 수술방 도착시보다 기관내 삽관 후 3, 4, 5분에서 수축기 혈압과 평균 혈압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교질액군에서는 수술방 도착시보다 기관내 삽관 후 5분에서만 평균 혈압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두군간에 비교시 대조군이 교질액군에 비해 수술방 도착시보다 기관내 삽관 후 4분과 5분에서 평균 혈압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며, 혈압 감소 시 혈압상승제 phenylephrine (20㎍/cc)을 점적투여한 경우도 대조군에서 유의하게 많았으므로 뇌동맥류 환자에서 마취유도 전 교질액 주입이 마취유도시 혈역학적 안정성을 보여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뇌동맥류 환자에서 마취유도시 혈역학적 안정을 위한 이상적인 교질액 종류와 적정 용량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하겠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국문요약 ∙∙∙∙∙∙∙∙∙∙∙∙∙∙∙∙∙∙∙∙∙∙∙∙∙∙∙∙∙∙∙∙∙∙∙∙∙∙∙∙∙∙∙∙∙∙∙∙∙∙∙∙∙∙∙∙∙∙∙∙∙∙∙∙∙∙∙∙∙∙∙∙∙∙∙∙∙∙∙∙∙∙∙∙∙∙∙∙∙∙∙∙∙∙ⅰ

차례 ∙∙∙∙∙∙∙∙∙∙∙∙∙∙∙∙∙∙∙∙∙∙∙∙∙∙∙∙∙∙∙∙∙∙∙∙∙∙∙∙∙∙∙∙∙∙∙∙∙∙∙∙∙∙∙∙∙∙∙∙∙∙∙∙∙∙∙∙∙∙∙∙∙∙∙∙∙∙∙∙∙∙∙∙∙∙∙∙∙∙∙∙∙∙∙∙∙∙∙∙∙ⅲ

그림차례 ∙∙∙∙∙∙∙∙∙∙∙∙∙∙∙∙∙∙∙∙∙∙∙∙∙∙∙∙∙∙∙∙∙∙∙∙∙∙∙∙∙∙∙∙∙∙∙∙∙∙∙∙∙∙∙∙∙∙∙∙∙∙∙∙∙∙∙∙∙∙∙∙∙∙∙∙∙∙∙∙∙∙∙∙∙∙∙∙∙∙∙∙∙ⅳ

표 차례 ∙∙∙∙∙∙∙∙∙∙∙∙∙∙∙∙∙∙∙∙∙∙∙∙∙∙∙∙∙∙∙∙∙∙∙∙∙∙∙∙∙∙∙∙∙∙∙∙∙∙∙∙∙∙∙∙∙∙∙∙∙∙∙∙∙∙∙∙∙∙∙∙∙∙∙∙∙∙∙∙∙∙∙∙∙∙∙∙∙∙∙∙∙∙∙∙ⅴ

Ⅰ. 서론 ∙∙∙∙∙∙∙∙∙∙∙∙∙∙∙∙∙∙∙∙∙∙∙∙∙∙∙∙∙∙∙∙∙∙∙∙∙∙∙∙∙∙∙∙∙∙∙∙∙∙∙∙∙∙∙∙∙∙∙∙∙∙∙∙∙∙∙∙∙∙∙∙∙∙∙∙∙∙∙∙∙∙∙∙∙∙∙∙∙∙∙∙∙∙∙∙1

Ⅱ. 대상 및 방법 ∙∙∙∙∙∙∙∙∙∙∙∙∙∙∙∙∙∙∙∙∙∙∙∙∙∙∙∙∙∙∙∙∙∙∙∙∙∙∙∙∙∙∙∙∙∙∙∙∙∙∙∙∙∙∙∙∙∙∙∙∙∙∙∙∙∙∙∙∙∙∙∙∙∙∙∙∙∙∙∙∙∙2

A. 연구대상 ∙∙∙∙∙∙∙∙∙∙∙∙∙∙∙∙∙∙∙∙∙∙∙∙∙∙∙∙∙∙∙∙∙∙∙∙∙∙∙∙∙∙∙∙∙∙∙∙∙∙∙∙∙∙∙∙∙∙∙∙∙∙∙∙∙∙∙∙∙∙∙∙∙∙∙∙∙∙∙∙∙∙∙∙∙∙2

B. 방법∙∙∙∙∙∙∙∙∙∙∙∙∙∙∙∙∙∙∙∙∙∙∙∙∙∙∙∙∙∙∙∙∙∙∙∙∙∙∙∙∙∙∙∙∙∙∙∙∙∙∙∙∙∙∙∙∙∙∙∙∙∙∙∙∙∙∙∙∙∙∙∙∙∙∙∙∙∙∙∙∙∙∙∙∙∙∙∙∙∙∙∙∙∙∙3

C. 통계∙∙∙∙∙∙∙∙∙∙∙∙∙∙∙∙∙∙∙∙∙∙∙∙∙∙∙∙∙∙∙∙∙∙∙∙∙∙∙∙∙∙∙∙∙∙∙∙∙∙∙∙∙∙∙∙∙∙∙∙∙∙∙∙∙∙∙∙∙∙∙∙∙∙∙∙∙∙∙∙∙∙∙∙∙∙∙∙∙∙∙∙∙∙∙3

Ⅲ. 결과 ∙∙∙∙∙∙∙∙∙∙∙∙∙∙∙∙∙∙∙∙∙∙∙∙∙∙∙∙∙∙∙∙∙∙∙∙∙∙∙∙∙∙∙∙∙∙∙∙∙∙∙∙∙∙∙∙∙∙∙∙∙∙∙∙∙∙∙∙∙∙∙∙∙∙∙∙∙∙∙∙∙∙∙∙∙∙∙∙∙∙∙∙∙∙∙∙∙4

Ⅳ. 고찰∙∙∙∙∙∙∙∙∙∙∙∙∙∙∙∙∙∙∙∙∙∙∙∙∙∙∙∙∙∙∙∙∙∙∙∙∙∙∙∙∙∙∙∙∙∙∙∙∙∙∙∙∙∙∙∙∙∙∙∙∙∙∙∙∙∙∙∙∙∙∙∙∙∙∙∙∙∙∙∙∙∙∙∙∙∙∙∙∙∙∙∙∙∙∙∙12

Ⅴ. 결론∙∙∙∙∙∙∙∙∙∙∙∙∙∙∙∙∙∙∙∙∙∙∙∙∙∙∙∙∙∙∙∙∙∙∙∙∙∙∙∙∙∙∙∙∙∙∙∙∙∙∙∙∙∙∙∙∙∙∙∙∙∙∙∙∙∙∙∙∙∙∙∙∙∙∙∙∙∙∙∙∙∙∙∙∙∙∙∙∙∙∙∙∙∙∙∙15

참고문헌∙∙∙∙∙∙∙∙∙∙∙∙∙∙∙∙∙∙∙∙∙∙∙∙∙∙∙∙∙∙∙∙∙∙∙∙∙∙∙∙∙∙∙∙∙∙∙∙∙∙∙∙∙∙∙∙∙∙∙∙∙∙∙∙∙∙∙∙∙∙∙∙∙∙∙∙∙∙∙∙∙∙∙∙∙∙∙∙∙∙∙∙∙∙∙16

ABSTRACT∙∙∙∙∙∙∙∙∙∙∙∙∙∙∙∙∙∙∙∙∙∙∙∙∙∙∙∙∙∙∙∙∙∙∙∙∙∙∙∙∙∙∙∙∙∙∙∙∙∙∙∙∙∙∙∙∙∙∙∙∙∙∙∙∙∙∙∙∙∙∙∙∙∙∙∙∙∙∙∙∙∙∙∙∙∙∙∙∙19"
-
dc.language.isoko-
dc.titleHemodynamic Changes after Endotracheal Intubation with Colloid Loading in Patients with Cerebral Aneurysm-
dc.title.alternative뇌동맥류 환자에서 마취 전 교질액 주입이 마취유도 시 혈역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9451-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department대학원 의학과-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주, 은진-
dc.date.awarded2009-
dc.type.localTheses-
dc.citation.date2009-
dc.embargo.liftdate9999-12-31-
dc.embargo.terms9999-12-31-
Appears in Collections:
Theses > School of Medicine / Graduate School of Medicine >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code

해당 아이템을 이메일로 공유하기 원하시면 인증을 거치시기 바랍니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