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Scipus Cited Count

Effect of Uncertainty and Spousal Support on Infertility related Quality of Life for Women receiving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ies

Other Title
보조생식술을 받는 여성의 불확실성과 배우자 지지가 난임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Authors
이, 혜신
Advisor
송, 주은
Department
대학원 간호학과
Degree
Master (2020)
Abstract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tudy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uncertainty and spousal support on infertility related quality of life in infertile women receiving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ies. The study sample was 172 infertile women who receiving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ies from infertility hospital in Seoul.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1, 2019 to August 30, 2019 us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consisted of uncertainty (Kim and Kim, 2010), spouse support (Park, 2007), and infertility-related quality of life (European Society of Human Reproduction & Embryology and the American Society of Reproductive Medicine, 2011).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ersion 25.0, and frequency and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and one 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mean of uncertainty was 28.35 points (1-50 points), the spouse support was 86.67 points (1-115 points), and quality of life related to infertility was 57.98 points (0-100 points).
2. Uncertainty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spouse support (r=-.22, p=.004) and infertility related quality of life (r=-.28, p<.001). Also, spouse suppor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infertility-related quality of life (r=.23, p<.003).
3. The differences in the infertility related quality of life were defined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ge (t=-2.15, p=.035), marriage duration (t=4.32, p<.001), health status (t=2.28, p=.035)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nd in terms of infertility-related characteristics, the total number of assisted reproductive procedures (F=13.51, p<.001), ovulation induction method (t=3.85, p<.001), and burden of infertility testing (F=4.94, p=.008) and the burden on infertility (F=6.42, p<.001)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quality of life related to infertility.
4. As a result of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infertility related quality of life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uncertainty, marriage duration, subjective health status, total number of assisted reproductive procedures, the burden for infertility status, and the cost of assisted infertility procedures. In addition, these variables showed 35.0% (p <.001) explanatory power in infertility related quality of lif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nursing field should seek and develop nursing interven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by assessing and effectively lowering the uncertainty during the assisted reproductive proces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a personalized nursing program focused on infertile women in consideration of marriage period, number of assisted reproductive procedures,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development of infertility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and verify its effectiveness by referring to the factors affecting infertility-related quality of life.

본 연구는 보조생식술을 받는 난임 여성의 불확실성과 배우자 지지가 난임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2019년 7월 1일부터 2019년 8월 30일까지 서울 소재 일개 난임 전문병원 외래에서 보조생식술을 받는 난임 여성 172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여 설문지를 통해 자료수집 하였다. 연구도구로 불확실성은 김미옥과 김 수(2010)가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배우자 지지는 박민경(2007)이 난임 여성에 맞게 수정보완한 도구로 측정하였다. 난임 관련 삶의 질의 측정도구는 유럽생식배아협회(European Society of Human Reproduction & Embryology)와 미국생식의학회(American Society of Reproductive Medicine)에 의해 개발된 난임 관련 삶의 질 도구(FertiQol International)의 한국어판으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version 25.0을 이용하였으며,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와 one 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불확실성 평균은 28.35점(1-50점)이었으며, 배우자 지지 평 86.67점(1-115점)이었으며, 난임 관련 삶의 질 평균은 57.98점(0-100점)이었다.
2. 대상자의 불확실성은 배우자 지지(r=-.22, p=.004)와 난임 관련 삶의 질(r=-.28, p<.001)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배우자 지지는 난임 관련 삶의 질(r=.23, p<.003)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난임 관련 삶의 질 차이는 나이(t=-2.15, p=.035), 결혼기간(t=4.32, p<.001), 건강상태(t=2.28, p=.03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난임 관련 특성에서는 보조생식술 총 횟수(F=13.51, p<.001), 배란유도 방법(t=3.85, p<.001), 난임 검사비용 부담감(F=4.94, p=.008), 난임에 부담 주는 사람(F=6.42, p<.001)에 따라 난임 관련 삶의 질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4.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최종모형에서 난임 관련 삶의 질에 불확실성, 결혼 기간, 주관적 건강상태, 보조생식술 총횟수, 난임에 부담 주는 사람, 검사비용이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가 난임 관련 삶의 질에 35.0%(p<.001)의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간호 실무현장에서 보조생식술 과정 동안 불확실성을 조기에 사정하여 효과적으로 낮춤으로 삶의 질을 향상할 수 있는 간호 중재 방법을 모색하고 개발하여 난임 치료 단계에 맞는 간호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또한, 결혼 기간과 보조생식술 횟수 및 주관적 건강상태 등을 고려하여 난임 환자 중심의 맞춤 간호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할 필요가 있겠다. 향후, 난임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참고하여 난임 간호 중재프로그램 개발과 그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Keywords

Appears in Collections:
Theses > College of Nursing Science > Master
Ajou Authors
송, 주은  |  이, 혜신
Full Text Link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qrcode

해당 아이템을 이메일로 공유하기 원하시면 인증을 거치시기 바랍니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