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women's birth experience and sleep quality under the condition of demographic, health behavior, disease morbidity and health level according to their birth experience.
METHODS: Among the raw data obtained from the 2018 Community Health Survey data, the respondents answered the question of whether they had birth experienced during the standard period (January 1, 2017-October 31, 2018) among women aged 19-49. Data were analyzed for women. SAS v9.4 was used for analysis, chi-square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RESULTS: The lower the age, the lower the level of education, the current smoking, the poorer the subjective health, and the perceived stress, the poorer the quality of sleep was. Even after adjusting for demographic, health behavior, disease morbidity and health level, the odds ratio for sleep quality was significantly higher(OR = 1.73, 95% CI = 1.54-1.94).
CONCLUSION: In this study, the poor quality of sleep was observed in women who had birth experience, and overall poor health behavior and low health level were shown in comparison with women who had no birth experience.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irth experience and sleep quality are expected to be useful as a basis for understanding the women's health problems due to birth and for the physical and mental health management of women.
본 연구는 여성의 출산경험에 따라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행태 특성, 질병이환 및 건강수준을 보정한 상태에서 여성의 출산경험여부와 수면의 질과의 연관성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2018년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통해 얻어진 원시자료 중 만 19세-49세의 여성 중 준거기간(2017년 1월 1일-2018년 10월 31일)동안 출산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여성 46,727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은 SAS v9.4를 이용하였으며 카이제곱검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출산경험이 있는 여성에서 연령이 낮을수록, 교육수준이 낮은 경우, 현재 흡연을 하는 경우, 주관적 건강수준이 좋지 않은 경우, 스트레스를 인지하는 경우 등에서 수면의 질이 좋지 않은 결과를 보였다.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행태 특성, 질병이환 및 건강수준에 대한 요인을 보정한 후에도 수면의 질 저하에 대한 오즈비는 유의하게 높은 결과를 보였다(OR=1.73, 95%CI=1.54-1.94). 본 연구에서는 출산경험이 있는 여성에서 수면의 질이 좋지 않은 결과를 보였으며, 출산경험이 없는 여성에 비해 전반적으로 좋지 않은 건강행태 및 낮은 건강수준을 보였다. 출산경험여부와 수면의 질과의 연관성을 연구의 결과는 출산으로 인한 여성의 건강문제에 대해 파악하고 그에 따른 여성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관리를 위한 근거자료로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