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BJECTIVES: The aim of the study is to determine which cephalometric measurements are concerned with clinical prognosis in non-extraction orthodontic treatment using mini-screws.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included 66 patients (mean age 18.07 years) who were diagnosed with skeletal class I malocclusion with mild incisor and lip protrusion. These patients underwent non-extraction orthodontic treatment with retraction of whole arch using mini-screws. Mini-screws are inserted on posterior interradicular area of 4 quadrants. Lateral cephalograms are taken and analyzed before treatment(T0), after leveling and alignment(T1), after retraction of whole arch(T2), after treatment(T3).
RESULTS: For the patients with large skeletal volume, protruded anterior tooth and alveolar bone, the amount of retraction of whole arch using mini-screw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05). Occlusal plane angle, AB to mandibular plane angle are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measurements with treatment result. However, mandibular vertical skeletal pattern, maxillo-mandibular horizontal relationship, age, treatment period a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Upper lip changes are the most correlated with changes of upper incisors when the amount of retraction is less than 3.5mm.
CONCLUSIONS: The suggested factors related with whole arch retraction in this study would enhance the predictability of prognosis in non-extraction cases for treatment of lip protrusion.
서론: 본 연구의 목적은 미니스크류를 이용한 비발치 교정치료시, 상악 전치 후퇴량과 치료 결과를 예측함에 있어 측모두부방사선 계측학적 분석을 통하여 참고할 수 있는 측모두부방사선 계측 항목을 알아보고자 함이다.
재료 및 방법: 상하악 전치 돌출을 동반한 골격성 I급 부정 교합으로 진단된 66명의 환자(평균 연령 : 18.07)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환자들은 미약한 전치 돌출 및 치아의 총생을 가지고 있어 비발치 교정 치료를 진행하였으며, 미니스 크류(mini-screw)는 4분악의 제1소구치와 제2소구치 사이 혹은 제2소구치와 제1 대구치 사이에 식립되었다. 치료 전(T0), 배열 및 레벨링 완료 후(T1), 전치 후 방 견인 후(T2), 치료 종료 후 (T3)의 네 시점에서 측모두부방사선 사진을 촬영 하였고, 각 시점의 방사선 계측항목을 분석하였다.
결과: 골격적 길이가 긴 경우(Anterior cranial length, Facial depth(nasion-gonion), Facial length(sella-gnathion)), 초진시의 전치부 및 치조골이 전방 위치한 경우(S perp to U1, S perp to A point, S perp to ANS)에서 미니스크류를 이용한 전치열 후방 이동을 시행할 시, 전치열의 후방이동량이 유의성 있게 많았다. 또한, 교합평면 에 대한 수직적 패턴(Occlusal plane to SN, FH)과 안면의 전방부 평면에 대한 하악평면의 수직적 패턴(AB to mandibular plane angle)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 미한 차이가 있었다. 반면, 두개기저에 대한 하악골의 수직적 패턴, 상악과 하 악의 전후방적 관계, 나이, 치료기간은 전치열의 후방이동량에서 통계적으로 유 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전치열 후방이동량이 3.5mm 미만인 군에서 상순의 후퇴량과 상악 전치부의 후퇴량이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 미니스크류를 이용한 비발치 돌출입 치료 증례에서 초진 시 측모두부방 사선 계측항목을 참고한다면, 치료의 결과 예측 및 치료계획 수립에 도움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