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Scipus Cited Count

Three Dimensional Changes in the Pharyngeal Airway Space after Mandibular Setback Surgery: 1 year follow up

Other Title
턱교정 수술 후 상기도 공간의 3 차원적 변화: 1 년 추적 검사
Authors
강, 노을
Advisor
송, 승일
Department
임상치의학대학원
Degree
Master (2021)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evaluated the long term changes up to 1 year in the pharyngeal airway space after bilateral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mandibular setback surgery and bimaxillary surgery through three-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analysis.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37 patients diagnosed with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underwent BSSRO setback surgery only (Group 1, n=23) or bimaxillary surgery (Group 2, n=14).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scan were taken before surgery (T0), 2 months after surgery (T1), 6 months after surgery (T2) and 1 year after surgery (T3). The nasopharynx (Nph), oropharynx (Oph), hypopharynx (Hph) volume and anteroposterior (AP) distance were measured through the InVivo Dental Application version 5.
RESULTS: In Group 1, Oph volume and Hph volum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nd maintained after the surgery (T1). In Group 2, Nph volume, Oph volume and Hph volume were decreased and relapsed at 1 year postoperatively (T3).
CONCLUSION: In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mandibular setback surgery only showed a greater reduction in pharyngeal airway space than bimaxillary surgery, and bimaxillary surgery was more stable in terms of airway.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evaluate the airway space before surgery and include it in the surgical plan.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편악 BSSRO 하악후퇴술 또는 Le Fort I 절골술을 동반하는 BSSRO 하악후퇴술을 시행한 환자에서 컴퓨터단층화 영상 검사를 통해 1 년동안 추적 검사를 통하여 3 차원적인 상기도 공간의 변화를 알아보는 것이다.
재료 및 방법: 아주대학교 치과병원에서 골격성 III 급 부정교합을 진단받은 37 명의 환자를 편악 BSSRO 하악후퇴술을 시행한 그룹과 (Group 1, n=23) Le Fort I 절골술을 동반한 BSSRO 하악후퇴술을 시행한 그룹(Group 2, n=14)로 나누었다. 콘빔 컴퓨터단층화 영상을 수술 전(T0), 수술 2 달 후(T1), 수술 6 개월 후(T2), 수술 1 년 후(T3)에 시행하였다. 상기도 공간을 비인두공간, 구강인두공간 및 하인두공간으로 나누고 각각의 부피와 전후방 길이를 Invivo Dental Application version 5 를 통해 측정하였다.
결과: 그룹 1 에서 구강인두공간 및 하인두공간의 부피는 수술 후(T1) 유의미하게 감소한 후 유지되었다(P<0.05). 그룹 2 에서 비인두공간, 구인두공간 및 하인두공간의 부피는 수술 후 감소하였으나 수술 후 1 년째(T3)에 회귀되어 수술 전 상기도공간의 부피로 회복되었다.
결론: 골격성 III 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하악후퇴술만 시행한 환자들이 양악수술을 시행한 환자에 비해 상기도공간이 더 크게 감소하였다. 기도의 안정성 측면에서 양악 수술이 더 안정적인 결과를 나타냈다. 그러므로 수술 전 CT 를 통해 기도를 평가하고 이를 수술계획에 반영하는 것이 중요하다.
Keywords

Appears in Collections:
Theses > Graduate School of Clinical Dentistry, Department of Clinical Dentisity > Master
Ajou Authors
강, 노을  |  송, 승일
Full Text Link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qrcode

해당 아이템을 이메일로 공유하기 원하시면 인증을 거치시기 바랍니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