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Scipus Cited Count

Relationships among Structural Empowerment,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Quality of Nursing Work Life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배, 선형-
dc.contributor.author백, 은비-
dc.date.accessioned2021-11-10T05:52:16Z-
dc.date.available2021-11-10T05:52:16Z-
dc.date.issued2021-
dc.identifier.urihttp://repository.ajou.ac.kr/handle/201003/19812-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was a cross-sectional study to identify the effect of structural and psychological empowerment on the quality of nursing work life, and to determine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uctural empowerment and quality of nursing work life. 134 clinical nurses were participated and completed a structured questionnaire. Data were collected from December 28, 2020, to January 6, 2021 at a university hospital in Gyeonggi, South Korea. Data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25.0 program with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s of structural empowerment,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quality of nursing work life were 3.06 ± 0.54, 3.22 ± 0.52, 3.68 ± 0.60 points, respectively.
2. Quality of nursing work lif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y gender (t=-3.31, p=.001), perceived health condition (F=7.79, p=.001), satisfaction of income (F=10.73, p<.001), and current work unit (F=3.22, p=.044). Quality of nursing work lif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tructural empowerment (r=.633, p<.001), and psychological empowerment (r=.636, p<.001).
3. Two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employed. For the Model 1, gender(β=.29, p<.001), perceived health condition (β=.21, p=.011), and satisfaction of income (β=.36, p<.001) were revealed as predictors of quality of nursing work life. For the Model 2, structural empowerment (β=0.26, p=.001) and psychological empowerment (β=0.42, p<.001) was identified as predictors of quality of nursing work life after controll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
4. To examine the mediating role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ructural empowerment and quality of nursing work life, the three-step method recommended by Baron and Kenny was conducted. After controlling general characteristics, psychological empowerment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tructural empowerment and quality of nursing work life. As a result of Sobel’s test, the medicated effect was significant (Z= 4.55, p<.001).
In this study, structural empowerment and psychological empowerment were identified as major influencing factors on the quality of nursing work life, and psychological empowerment was shown to mediate between structural empowerment and quality of nursing work life. Therefore,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develop and apply programs that can improve structural and psychological empowerment. It also requires organizational and institutional efforts to increase psychological empowerment by increasing access to structural empowerment.
-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간호사의 구조적,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간호사 직장생활의 질 수준을 확인하고, 구조적 임파워먼트와 간호사 직장생활의 질 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소재 대학병원에 1년 이상 재직 중인 임상간호사 134명을 편의 표집하였다. 자료 수집은 기관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승인 및 대상 병원의 자료수집 허가를 받은 후, 총 75문항의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20년 12월 28일부터 2021년 1월 6일까지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IBM SPSS 25.0을 이용하여 수행하였으며,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결과 대상자의 구조적 임파워먼트는 평균평점 3.06±0.54점,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평균평점 3.22±0.52점, 간호사 직장생활의 질은 평균평점 3.68±0.60점으로 나타났다.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사 직장생활의 질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t=-3.31, p=.001), 지각된 건강상태(F=7.79, p=.001), 월급만족도(F=10.73, p<.001)와 현재근무부서(F=3.22, p=.044)에 따라 간호사 직장생활의 질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간호사 직장생활의 질은 구조적 임파워먼트(r=.633, p<.001)와 심리적 임파워먼트(r=.636, p<.001)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구조적 임파워먼트와 심리적 임파워먼트 사이에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541, p<.001).
4. 간호사 직장생활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일반적 특성을 투입한 모형 1에서는 성별(β=.29, p<.001), 지각된 건강상태(β=.21, p=.011), 월급만족도(β=.36, p<.001)가 유의한 변수로 확인되었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30%이었다. 다음으로 모형 2에서 일반적 특성을 통제한 상태에서 구조적, 심리적 임파워먼트를 추가로 투입하여 영향력을 검증한 결과, 구조적 임파워먼트(β=0.26, p=.001), 심리적 임파워먼트(β=0.42, p<.001)가 유의한 변수로 확인되었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62%이었다.
5. 마지막으로 구조적 임파워먼트와 간호사 직장생활의 질 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Baron과 Kenny (1986)의 3단계 절차를 이용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구조적 임파워먼트가 간호사 직장생활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Sobel test를 이용해 매개효과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 매개효과는 유의하였다(Z= 4.55, p<.001).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구조적 임파워먼트에 대한 접근을 높이는 작업 환경의 구성을 통해 심리적 임파워먼트를 강화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를 위한 임파워먼트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으로 간호사 직장생활의 질을 향상 시킬 수 있을 것이다. 최종적으로 간호사 개인의 직장생활의 질 향상으로 인해 효율적인 인력관리와 조직의 생산성이 증가될 것으로 기대된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목적 5
C. 용어정의 6
Ⅱ. 문헌고찰 8
A. 간호사 직장생활의 질 8
B. 구조적,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간호사 직장생활의 질 11
Ⅲ. 연구방법 14
A. 연구설계 14
B. 연구대상 14
C. 연구도구 15
D. 자료수집방법 16
E. 자료분석방법 17
F. 윤리적 고려 18
Ⅳ. 연구결과 19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9
B. 대상자의 구조적,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간호사 직장생활의 질 21
C.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사 직장생활의 질 차이 23
D. 구조적,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간호사 직장생활의 질 간의 관계 25
E. 구조적,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간호사 직장생활의 질에 미치는 영향 26
F. 구조적 임파워먼트와 간호사 직장생활의 질 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 효과 28
Ⅴ. 논의 30
Ⅵ. 결론 및 제언 37
A. 결론 37
B. 제언 38
참고문헌 39
-
dc.language.isoko-
dc.titleRelationships among Structural Empowerment,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Quality of Nursing Work Life-
dc.title.alternative구조적, 심리적 임파워먼트와간호사 직장생활의 질-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1106-
dc.subject.keywordquality of nursing work life-
dc.subject.keywordempowerment-
dc.subject.keywordstructural empowerment-
dc.subject.keywordpsychological empowerment-
dc.subject.keywordquality of work life-
dc.subject.keywordnurse-
dc.subject.keyword간호사 직장생활의 질-
dc.subject.keyword임파워먼트-
dc.subject.keyword구조적 임파워먼트-
dc.subject.keyword심리적 임파워 먼트-
dc.subject.keyword직장생활의 질-
dc.subject.keyword간호사-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department대학원 간호학과-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백, 은비-
dc.date.awarded2021-
dc.type.localTheses-
dc.citation.date2021-
dc.embargo.liftdate9999-12-31-
dc.embargo.terms9999-12-31-
Appears in Collections:
Theses > College of Nursing Science >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code

해당 아이템을 이메일로 공유하기 원하시면 인증을 거치시기 바랍니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