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A Study of Intention to Stay, Reality Shock, and Resilience among New Graduate Nurse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현, 명선 | - |
dc.contributor.author | 김, 소영 | - |
dc.date.accessioned | 2021-11-10T05:52:22Z | - |
dc.date.available | 2021-11-10T05:52:22Z | - |
dc.date.issued | 2021 | - |
dc.identifier.uri | http://repository.ajou.ac.kr/handle/201003/19819 | - |
dc.description.abstract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relationships among intention to stay, reality shock, and resilience an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intention to stay among new graduate nurses. The design of the study was cross-sectional descriptive. One hundred twenty seven newly graduated registered nurses at a university-affiliated hospital in Gyeonggi Province, South Korea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December 30, 2020 to January 13, 2021.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5.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for intention to stay, reality shock, and resilience were 4.73±1.25, 3.13±0.63, and 3.52±0.42, respectively. 2)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intention to stay according to clinical career period (t=3.26, p=.001), motivation for choosing a nursing job (t=2.91, p=.004), reason for retention (t=4.88, p<.001), job satisfaction (F=30.55, p<.001), and desired dispatch (t=3.44, p=.001). 3) Intention to stay negatively correlated with reality shock (r=-.555, p<.001), and positively with resilience (r=.444, p<.001). Reality shock had negative relationship with resilience (r=-.441, p<.001). 4) In multiple regression anlaysis, factors affecting intention to stay were found to be ‘satisfactory job satisfaction (β=.36, p=.002)’, ‘reality shock (β=-.25, p=.009)’, ‘clinical career period less than 6 months (β=.21, p=.004)’, ‘moderate job satisfaction (β=.19, p=.046)’, and ‘resilience (β=.17, p=.035)’ in order. The explanatory power of this finding was 44% and the regression mode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onclusion, intention to stay can be increased by reducing the level of reality shock and by increasing the resilience. This finding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manage nursing resources efficiently for developing a program that can enhance the intention to stay in hospital. | - |
dc.description.abstract | 본 연구는 신규간호사의 재직의도와 현실충격 및 극복력 정도를 확인하고,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재직의도에 대한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 일개의 대학 부속병원에서 근무하는 1년 미만의 신규간호사 127명을 대상으로 2020년 12월 30일부터 2021년 1월 13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통해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의 재직의도 정도는 8점 만점에 평균 4.73±1.25점으로 나타났다. 현실충격은 5점 만점에 평균 3.13±0.63점이었고, 극복력은 5점 만점에 평균 3.52±0.42점이었다. 2)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재직의도의 차이에서 임상경력(t=3.26, p=.001), 간호직 선택동기(t=2.91, p=.004), 재직이유(t=4.88, p<.001), 간호직 만족도(F=30.55, p<.001), 희망부서 배치(t=3.44, p=.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연구대상자의 재직의도는 현실충격(r=-.555,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극복력(r=.444,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실충격은 극복력(r=-.441,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4) 회귀분석 결과, 재직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간호직 만족도가 만족인 경우(β=.36, p=.002), 현실충격(β=-.25, p=.009), 임상경력에서 6개월 이하인 경우(β=.21, p=.004), 간호직 만족도가 보통인 경우(β=.19, p=.046), 극복력(β=.17, p=.035) 순으로 나타났으며, 재직의도에 대한 설명력은 44%로 회귀모형은 유의하였다(F=13.50, p<.001).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신규간호사의 현실충격이 낮을수록, 극복력이 높을수록 재직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신규간호사의 재직의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현실충격을 줄이고, 극복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효율적으로 간호인력 자원을 관리할 필요가 있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목적 4 C. 용어정의 4 Ⅱ. 문헌고찰 6 A. 신규간호사의 재직의도 6 B. 신규간호사의 현실충격과 재직의도 9 C. 신규간호사의 극복력과 재직의도 11 Ⅲ. 연구방법 13 A. 연구설계 13 B. 연구대상 13 C. 연구도구 14 D. 자료수집방법 15 E. 자료분석방법 16 F. 윤리적 고려 17 Ⅳ. 연구결과 18 A.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8 B. 연구대상자의 재직의도와 현실충격 및 극복력 정도 20 C.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재직의도의 차이 22 D. 연구대상자의 재직의도와 현실충격 및 극복력 간의 관계 24 E. 연구대상자의 재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5 Ⅴ. 논의 27 Ⅵ. 결론 및 제언 36 A. 결론 36 B. 제언 37 참고문헌 38 | - |
dc.language.iso | ko | - |
dc.title | A Study of Intention to Stay, Reality Shock, and Resilience among New Graduate Nurse | - |
dc.title.alternative | 신규간호사의 재직의도와 현실충격 및 극복력 | - |
dc.type | Thesis | - |
dc.identifier.url | 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1061 | - |
dc.subject.keyword | new graduate nurse | - |
dc.subject.keyword | intention to stay | - |
dc.subject.keyword | reality shock | - |
dc.subject.keyword | resilience | - |
dc.subject.keyword | 신규간호사 | - |
dc.subject.keyword | 재직의도 | - |
dc.subject.keyword | 현실충격 | - |
dc.subject.keyword | 극복력 | - |
dc.description.degree | Master | - |
dc.contributor.department | 대학원 간호학과 | - |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 | 김, 소영 | - |
dc.date.awarded | 2021 | - |
dc.type.local | Theses | - |
dc.citation.date | 2021 | - |
dc.embargo.liftdate | 9999-12-31 | - |
dc.embargo.terms | 9999-12-31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