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Scipus Cited Count

Burden and Nursing Needs of Severe Trauma Patient's Family in Trauma Wa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송, 미숙-
dc.contributor.advisor유, 미애-
dc.contributor.advisor서, 은지-
dc.contributor.author박, 경숙-
dc.date.accessioned2021-11-10T05:52:24Z-
dc.date.available2021-11-10T05:52:24Z-
dc.date.issued2021-
dc.identifier.urihttp://repository.ajou.ac.kr/handle/201003/19823-
dc.description.abstractThis descriptive survey research aimed to examine the burden and nursing needs of families of severe trauma patients in trauma ward, check relations between these two factors, and develop a proper nursing intervention for such patients and their families. Data was collected with a survey administered to 87 family members of severe trauma patients hospitalized at the trauma ward, Regional Trauma Center, A University Hospital in Gyeonggi Province from December 15, 2019 to April 30, 2020. Their burden was measured with the multidimensional Caregiver Burden Inventory(CBI) developed by Novak and Guest(1989) and translated, revised, and supplemented by Kim Eun-ha(2002). Their nursing needs were measured with the Critical Care Family Need Inventory developed by Molter(1979), supplemented by Jeong Hyeon-ok(2004), and revised by the investigator.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the SPSS 21.0 program in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Scheffe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 subjects scored mean 3.15 points out of 5 in burden. Their scores in a sense of burden about time were the highest at 4.08±0.76, and it was followed by their economic burden(3.68±1.04), burden about self-development(3.15±1.18), physical burden(3.08±1.04), emotional burden(2.45±0.82), and social burden(2.44±0.77) in the order.
2. The subjects scored mean 3.36 points out of 4 in nursing needs. They recorded the highest 3.73±0.36 points in need for information about the patient's state, which was followed by need for treatment and nursing information(3.65±0.80), need for personal participation in nursing(3.47±0.48), need for resources for the family(3.39±0.47), need for emotional supports for the family(3.31±0.53), and need for religious supports(2.18±0.89) in the order.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burden of the subjects according to some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including age(F=7.88, p=.001), family monthly income(F=3.44, p=.037), patient’s educational background(F=4.77, p=.011).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also found in their burden according to som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including conscious state(F=4.23, p=.018), number of operations(F=3.42, p=0.037), and duration in ICU(F=4.92, p=.010).
4.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nursing needs of the subjects according to some general characteristic of patients including age(F=4.73, p=.011), type of caregiving(t=-2.01, p=.047), religion(t=-5.72, p=.000).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nursing needs according to som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including conscious state(F=3.27, p=.043) and number of operations(F=3.15, p=.048).
5.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burden and nursing needs of the subjects(r=.37, p=.000). Their family burden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ir need for treatment and nursing information(r=.39, p=.000), need for information about the state of the patient구(r=.25, p=.018), need for emotional supports for the family(r=.380, p=.000), and need for direct participation in nursing(r=.22, p=.037). It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eir need for resources for the family and need for religious supports.
In short, these findings raise a need to understand the burden of families of severe trauma patients, figure out their nursing needs, and thus provide efficient nursing interventions to satisfy them in an active manner.
-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외상병동에 입원한 중증외상환자 가족의 부담감과 간호요구도를 파악하고 두 요인간의 관계를 확인하여 중증외상환자 및 가족을 위한 간호중재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경기도 A 대학병원 권역외상센터 외상병동에 입원한 중증외상환자의 가족 8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19년 12월 15일부터 2020년 4월 3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의 부담감은 Novak과 Guest(1989)가 개발한 다차원적 부양자 부담 사정도구(Caregiver Burden Inventory:CBI)를 김은하(2002)가 번역하여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간호요구도는 Molter(1979)가 개발한 Critical Care family Need Inventory를 정현옥(2004)이 보완한 도구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 way ANOVA, Scheffe test 및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의 부담감은 평균 3.15점(최고 5점)으로 이를 영역별로 살펴보면 시간에 대한 부담감이 4.08±0.76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이 경제적 부담감(3.68±1.04), 자기발전에 대한 부담감(3.15±1.18), 신체적 부담감(3.08±1.04), 정서적 부담감(2.45±0.82), 사회적 부담감(2.44±0.77) 순으로 나타났다.
2. 연구대상자의 간호요구도는 평균 3.36점(최고 4점)으로, 이를 영역별로 살펴보면 환자상태 정보요구가 3.73±0.36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이 치료 및 간호정보에 대한 요구(3.65±0.80), 직접간호 참여요구(3.47±0.48), 가족을 위한 자원제공에 대한 요구(3.39±0.47), 가족을 위한 정서적 지지요구(3.31±0.53), 종교적 지지요구(2.18±0.89) 순으로 나타났다.
3.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인 연령(F=7.88, p=.001), 가족월수입(F=3.44, p=.037), 환자학력(F=4.77, p=.011)에 따라 연구대상자의 부담감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환자의 임상적 특성인 의식상태(F=4.23, p=.018), 수술횟수(F=3.42, p=.037), ICU 재원기간(F=4.92, p=.010)에 따라 연구대상자의 부담감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인 연령(F=4.73, p=.011), 돌봄형태(t=-2.01, p=.047), 종교유무(t=-5.72, p=.000)에 따라, 그리고 환자의 임상적 특성인 의식상태(F=3.27, p=.043), 수술횟수(F=3.15, p=.048)에 따라 연구대상자의 간호요구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연구대상자의 부담감과 간호요구도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r=.37, p=.000) 연구대상자의 가족부담감은 치료 및 간호정보에 대한 요구(r=.39, p=.000), 환자상태 정보요구(r=.25, p=.018), 가족을 위한 정서적 지지요구(r=.38, p=.000) 직접간호 참여요구(r=.22, p=.037)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가족을 위한 자원제공요구, 종교적 지지요구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외상병동에 입원한 중증외상환자 가족의 부담감을 이해하고 그들의 간호요구도에 부응하는 간호중재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목적 3
C. 용어정의 4
1. 가족부담감 4
2. 간호요구도 4
Ⅱ. 문헌고찰 5
A. 중증외상환자 5
B. 중증외상환자 가족의 부담감과 간호요구도 8
Ⅲ. 연구방법 11
A. 연구설계 11
B. 연구대상 11
C. 연구도구 12
1. 가족부담감 12
2. 간호요구도 12
D. 자료수집방법 13
E. 윤리적 고려 13
F. 자료분석방법 14
Ⅳ. 연구결과 15
A.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환자의 임상적 특성 15
B. 연구대상자의 가족부담감과 간호요구도 19
1. 연구대상자의 가족부담감 19
2. 연구대상자의 간호요구도 21
C.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가족부담감과 간호요구도의 차이 24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가족부담감 24
2.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요구도 28
D. 환자의 임상적 특성에 따른 연구대상자의 가족부담감과 간호요구도의 차이 32
1. 환자의 임상적 특성에 따른 연구대상자의 가족부담감 32
2. 환자의 임상적 특성에 따른 연구대상자의 간호요구도 34
E. 연구대상자의 가족부담감과 간호요구도 간의 상관관계 36
Ⅴ. 논의 38
Ⅵ. 결론 및 제언 44
A. 결론 44
B. 제언 46
참고문헌 47
-
dc.language.isoko-
dc.titleBurden and Nursing Needs of Severe Trauma Patient's Family in Trauma Ward-
dc.title.alternative외상병동에 입원한 중증외상환자 가족의 부담감과 간호요구도-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0760-
dc.subject.keywordfamily burden-
dc.subject.keywordnursing needs-
dc.subject.keywordsevere trauma patient-
dc.subject.keyword가족부담감-
dc.subject.keyword간호요구도-
dc.subject.keyword중증외상환자-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department대학원 간호학과-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박, 경숙-
dc.date.awarded2021-
dc.type.localTheses-
dc.citation.date2021-
dc.embargo.liftdate9999-12-31-
dc.embargo.terms9999-12-31-
Appears in Collections:
Theses > College of Nursing Science >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code

해당 아이템을 이메일로 공유하기 원하시면 인증을 거치시기 바랍니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