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Scipus Cited Count

The Association of Caregivers’ Job identity, Self-esteem, and Empathy capacity with Their End-of-Life Care Performance in Long-Term Care Facilities

Other Title
장기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직업정체성, 자아존중감, 공감역량과 임종돌봄수행 간의 관계
Authors
손, 은경
Advisor
이, 윤환
Department
보건대학원
Degree
Master (2021)
Abstract
It is important for an old man that he is provided with a decent care when he spends the last moment of his life. This study is designed to find a descriptive correlation by examining the factors that affect the end-of-life care performance in long-term care facilities. The study attempts to establish a plan for improvement in end-of-life care by examining the job identity, self-esteem, empathy capacity, and end-of-life care performers of caregivers, and by grasping the relationship among them. A survey was conducted in three regions on nursing caregivers who have end-of-life care experience in nursing homes. A total of 230 copies of data from August 18, 2020 to August 30, were analyzed with the SPSS/WIN 24.0 program. General characteristics of caregivers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and technical statistics, and job identity, self-esteem, empathy capacity and end-of-life care performance of caregivers were analyzed by means and standard deviation. The analysis of differences in job identity, self-esteem, empathy capacity and end-of-life care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caregivers was analyzed by the T-test and the one-way variance analysis (ANOVA), and the post-test was analyzed by the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find out the factors affecting the caregiver's end-of-life care. Self-esteem and empathy capacity were found to be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the end-of-life care performance of long-term caregivers, and empathy capacity was found to be the most significant factor that influences them. Due to the increase in the elderly population, more and more people spend the end of their live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Although personal interests and social demands for holistic end-of-life care are increasing in the aging society, very few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end-of-life care in Korea.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help improve the end-of-life care quality and enable people to benefit from holistic care and prepare for the end of their lives with dignity.

시설 입소노인이 생의 마지막 순간을 어떠한 보살핌속에 보내느냐는 중요하다. 본 연구는 장기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임종돌봄수행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알아보는 서술적 상관관계 조사연구이다. 요양보호사의 직업정체성, 자아존중감, 공감역량, 임종돌봄수행 정도를 알아보고 이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임종돌봄수행 향상 방안을 위하여 시도되었다. 광주광역시, 경기도 수원시와 남양주시의 3개소 보훈공단 소속 장기요양시설에 종사하는 임종돌봄 경험이 있는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2020년 8월 18일부터 8월 3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30부의 자료를 SPSS/WIN 24.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요양보호사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로 분석하였고, 직업정체성, 자아존중감, 공감역량 정도는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다. 요양보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업정체성, 자아존중감, 공감역량, 임종돌봄수행의 차이분석은 T-test와 일원변량분석(ANOVA)으로 분석하고 사후검정은 Scheffe test로 분석하였다. 변수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피어슨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요양보호사의 임종돌봄수행에 영향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장기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임종돌봄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아존중감과 공감역량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주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공감역량이었다. 노인 인구 증가로 장기요양을 통해 생의 마지막을 보내게 되는 노인 또한 증가하고 있다. 고령화 시대, 전인적 임종돌봄에 대한 개인적, 사회적 관심과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나 우리나라 장기요양에서는 임종돌봄에 대한 연구가 아직 부족하다. 본 연구를 통해 장기요양시설에서 생의 마지막을 준비하는 이들의 존엄한 임종을 위하여 요양보호사의 임종돌봄수행 향상 방안 마련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Keywords

Appears in Collections:
Theses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Deartment of Public Health > Master
Ajou Authors
손, 은경  |  이, 윤환
Full Text Link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qrcode

해당 아이템을 이메일로 공유하기 원하시면 인증을 거치시기 바랍니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