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Scipus Cited Count

Cross-Simulation of the Predicted Concentrations between the Two Pharmacokinetic Models during Target Controlled Infusion of Propofol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민, 상기-
dc.contributor.author김, 경미-
dc.date.accessioned2011-11-01T01:19:07Z-
dc.date.available2011-11-01T01:19:07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urihttp://repository.ajou.ac.kr/handle/201003/4331-
dc.description.abstract연구 목적 : 목표농도주입 시 약동학 매개변수는 안정된 혈중 농도를 유지하기 위해 주입속도를 결정하게 된다. 본 연구는 프로포폴의 한 약동학적 모델에 의한 혈장 및 효과처 예측 농도를 서로 다른 프로포폴의 약동학적 모델의 목표농도주입 시스템 자료를 사용하여 교차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 : 60명의 여성 환자를 무작위로 두 그룹으로 분류하여, 프로포폴의 혈중 목표 농도를 6.0 μgml-1로 설정하여 마취를 유도하였다. 그룹 M 은 Marsh 약동학 모델을 사용하였으며, 그룹 S는 Schnider 약동학 모델을 이용하였다. 2가지의 교차실험을 진행하였는데, 두 시간 동안 다른 약동학 모델을 이용하여 혈중 농도를 6.0 μgml-1으로 유지하거나, 6.0 μgml-1로 마취 유도 후, 4.0 μgml-1로 유지하는 상황을 설정하여 교차 시험 분석하였다. 모의 혈중 농도를 이전의 목표농도와 비교하였고, 공변량들을 분석함으로써 예측치의 차이에 대한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또한 반응성 소실(LOR)시의 효과처 농도(Ce)를 교차 시험 전후로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 Marsh 모델에 의한 목표농도주입법이, Schnider 모델에 의한 주입보다 반응성 소실에 걸리는 시간이 유의하게 짧았다. 교차실험 결과 예측 농도의 시간 추이는 다르게 나타났다. Marsh 약동학 모델은, 약물 주입 초기에 과다한 농도로 주입 되었고, Schnider 약동학 모델은 2시간까지 보다 높은 농도로 약물 주입 양을 유지하였다. 또한 공변인자 중에서 체중이 예측 농도의 차이에 가장 큰 상관관계를 보였다. 반응성 소실 (LOR)시 효과처 농도는 두 그룹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모의 예측 효과처 농도는 두 그룹간 차이를 나타냈다.



결론 : 프로포폴의 두 가지 약동학적 모델의 비교를 위하여, 목표농도주입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예측되는 혈중 및 효과처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약동학 및 약력학적 변인의 차이를 밝혀내고자 하였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국문요약 ⅰ

차례 iii

그림차례 iv

표차례 vi

Ⅰ. 서론 1

Ⅱ. 연구 대상 및 방법 2

A. 프로포폴 목표농도주입 2

B. 반응소실의 평가 (Loss of responsiveness) 4

C. 혈장 및 효과처 예측 농도의 교차 시험 5

D. 통계 6

III. 결과 8

A. 전체 교차시험 8

1. 상황I 8

2. 상황II 14

B. 분리 교차시험 17

C. 공변량들의 회귀분석 17

IV. 고찰 21

Ⅴ. 결론 27

참고문헌 28

ABSTRACT 33
-
dc.language.isoko-
dc.titleCross-Simulation of the Predicted Concentrations between the Two Pharmacokinetic Models during Target Controlled Infusion of Propofol-
dc.title.alternative목표농도주입 시 약동학 모델에 의한 propofol의 예측 농도 교차모의실험-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1253-
dc.subject.keyword목표농도주입법-
dc.subject.keyword약동학-
dc.subject.keyword교차모의실험-
dc.subject.keyword마취-
dc.subject.keyword약력학-
dc.subject.keywordPropofol-
dc.subject.keywordCross-Simulation-
dc.subject.keywordPharmacokinetic Models-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department대학원 의학과-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김, 경미-
dc.date.awarded2011-
dc.type.localTheses-
dc.citation.date2011-
dc.embargo.liftdate9999-12-31-
dc.embargo.terms9999-12-31-
Appears in Collections:
Theses > School of Medicine / Graduate School of Medicine >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code

해당 아이템을 이메일로 공유하기 원하시면 인증을 거치시기 바랍니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