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Scipus Cited Count

Umbilical Nucleated Red Blood Cell Counts and Perinatal Outcome According to Doppler End-Diastolic Velocity on Severe Preeclampsia

Other Title
중증 전자간증 임산부의 제대동맥 이완기말 혈류 속도에 따른 제대혈 혈액소견 및 주산기 예후
Authors
오, 준환 | 임, 윤경 | 이, 희종 | 김, 행수  | 양, 정인  | 유, 희석  | 오, 기석
Citation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46(4). : 746-751, 2003
Journal Title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ISSN
0494-4755
Abstract
Objective : To assess the umbilical nucleated red blood cell counts and perinatal outcomes according to umbilical artery Doppler end diastolic velocity in severe preeclampsia.
Materials and Methods : A prospecive case-control study comparing 42 severe preeclampsia patients who had present umbilical artery end diastolic velocity with 7 severe preeclampsia patients who absent end diastolic velocity for umbilical nucleated red blood cell counts and perinatal outcomes.
Results : Those with absent end diastolic velocity did not have significantly greater nucleated red blood cell counts, but they had increased hemoglobin, hematocrit. These newbom had significantly lower birth weight, increased Cesarean section rate for fetal distress and been more frequently admitted to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These newbornn also had significantly increased intracranial hemorrhage,assisted ventilation and longer hospital days.
Conclusion : No correlation with nucleated red blood cell counts and chronic fetal hypoxia were presented. However further study with more expanded cases for the role of nucleated red blood cell counts as a marker of fetal hypoxia will be needed.

목적 : 중증 전자간증 환자를 대상으로 제대동맥 이완기말 혈류의 유무에 따른 제대혈 유핵 적혈구의 수와 주산기 예후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1999년 1월부터 2002년 9월까지 아주대학교 산부인과에 입원한 중증 전자간증 환자중 분만 72시간 전에 제대 동맥 이완기말 혈류속도를 측정한 49예를 대상으로 하여 이완기말 혈류 속도가 있었던 42예와 혈류 속도가 없는 7예 사이의 제대혈에서의 유핵 적혈구의 수와 태아의 주산기 예후를 비교하였다.
결과 : 두 군간의 제대혈에서의 유핵 적혈구의 수에는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으나 혈색소나 헤마토크릿에서는 의미있는 증가를 보였다. 이완기말 혈류 속도가 없었던 예의 태아에서 출생시의 저체중, 태아곤란증으로 인한 제왕 절개술, 신생아 집중 치료실로의 입원이 의미있게 높았으며 또한 신생아의 두개내 출혈이나 보조환기 여부, 집중 치료실의 입원일수 등의 신생아 이환에 있어 의미있게 높은 결과를 보였다.
결론 : 본 연구에서는 태아의 저산소증과 유핵 적혈구의 수의 증가 사이에는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태아 저산소증의 예측 인자로서의 유핵 적혈구의 임상 효용성에 대한 향후 더 많은 예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Keywords

Appears in Collections:
Journal Papers > School of Medicine / Graduate School of Medicine > Obstetrics & Gynecology
Journal Papers > School of Medicine / Graduate School of Medicine > Medical Science
Ajou Authors
김, 행수  |  양, 정인  |  오, 기석  |  유, 희석
Full Text Link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qrcode

해당 아이템을 이메일로 공유하기 원하시면 인증을 거치시기 바랍니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