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BJECTIVE: To determine the effect of lowering the cutoff values of 3-hour oral glucose tolerance test (OGTT) for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GDM).
METHODS: Patients with an abnormal 50 gm glucose challenge test (GCT) of more than 130 mg/dL at 24-28 weeks of gestation underwent a 3-hour OGTT at 28-32 weeks of gestation. Patien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the criteria recommended by Carpenter-Coustan or National Diabetes Data Group (NDDG) (Control: 50 gm GCT negative [n=268], Borderline: 2 or more abnormal values met or exceeded Carpenter-Coustan criteria but not the NDDG criteria [n=100], NDDG I: 2 or more abnormal values met or exceeded NDDG criteria, [treated, n=70], NDDG II: [not treated, n=42]). Obstetric and perinatal outcomes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RESULTS: Of 5,827 pregnant women screened for GDM, 112 (1.9%) met the NDDG criteria, whereas 212 (3.6%) met the Carpenter-Coustan criteria. The incidences of poor maternal outcomes were 20.1%, 28.0%, 47.1%, 21.4%, and the incidences of poor neonatal outcomes were 3.7%, 6.0%, 14.3%, 16.7% in the four groups (p<0.05).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1) NDDG I showed an independent risk factor for poor maternal outcome (OR, 3.37), but the borderline group did not, 2) NDDG I showed an independent risk factor for poor neonatal outcome (OR, 3.87), but the borderline group did not, 3) the borderline group showed an independent risk factor for preterm delivery (OR, 2.67).
CONCLUSION: Lowering the cutoff values would increase the number of pregnant women with GDM, while only minimally affecting the perinatal outcomes. Further large-scale prospective studies for Korean pregnant women may be needed.
목적 : 임신성 당뇨의 진단기준을 낮추는 것이 미치는 효과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임신 24-28주에 시행한 50 gm 경구 당부하검사상 혈장 혈당치가 130 mg/dl 이상인 산모에게 임신 28-32주에 100 gm 경구 당부하검사를 시행하였다. Carpenter-Coustan과 NDDG의 임신성 당뇨에 대한 진단 기준을 적용하여, 대조군: 50 gm 경구 당부하검사상 정상군 (n=268), Borderline 군: Carpenter-Coustan와 NDDG 기준 사이에 속하는 군 (n=100), NDDG I: NDDG 기준에 의한 임신성 당뇨로 치료받은 군 (n=70), NDDG Ⅱ: 치료받지 않은 군 (n=42) 등 4군으로 분류하여 각 군간의 임신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임신성 당뇨의 유병율이 NDDG 기준에 의하면 112/5,827 (1.9%), Carpenter-Coustan 기준 적용시에는 212/5,827 (3.6%)로 나타났다. 불량한 모성 예후의 빈도는 4군에서 각각 20.1%, 27.0%, 47.1%, 21.4%로 NDDGI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P<0.05). 불량한 신생아 예후의 빈도는 3.7%, 6.0%, 14.3%, 16.7%로 NDDG I 및 Ⅱ군이 유의하게 높았다 (P<0.05).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상 불량한 모성 예후의 비차비는 Borderline, NDDG I, NDDG Ⅱ가 각각 1.43 (95% 신뢰구간, 0.83-2.46), 3.37 (95% 신뢰구간 1.92-5.92), 1.04 (95% 신뢰구간, 0.46-2.33)으로 나타났으며, 불량한 신생아 예후의 비차비는 각각 1.23 (95% 신뢰구간, 0.41-3.67), 3.87 (95% 신뢰구간, 1.48-10.14), 4.97 (95% 신뢰구간, 1.26-14.81)로 나타났다.
결론 : 임신성 당뇨의 진단 기준을 NDDG 기준에서 Carpenter-Coustan의 기준으로 낮추는 것은 불량한 모성 및 신생아 예후에 대한 영향은 거의 없이 임신성 당뇨 산모수를 늘려 과잉진단 및 치료에 따른 비용상승을 초래할 수 있다. 이의 적용 여부에 대해서는 향후 대규모의 전향적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