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Scipus Cited Count

Perinatal outcomes in twin pregnancy with birth weight discordancy

Other Title
출생 체중 불일치를 보이는 쌍태임신의 주산기 예후
Authors
이, 희종 | 이, 준서 | 김, 행수  | 양, 정인  | 오, 준환 | 한, 기수 | 오, 기석
Citation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44(3). : 466-471, 2001
Journal Title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ISSN
0494-4755
Abstract
Objective : To evaluate the perinatal outcomes of twin pregnancies with birth weight discordancy and to determine factors affecting on the outcomes. Methods : We studied 367 pairs of twin delivered after 28 weeks of gestation at the Ajou University Hospital between June 1994 and June 2000. Twins were stratifi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percent difference of birth weight. Birth weight difference less than 15%(concordant) was classified into control group(268 pairs), between 15% and 25% into group 1(72 pairs), and more than 25% into group 2(27 pairs). Perinatal outcomes of each group were assessed retrospectively. Results : In smaller twins, mean birth weight(control vs group 1 vs. group 2 : 2274.3±424.9 gm vs. 2012.9±303.2 gm vs. 1635.2±440.8 gm, p<0.05), duration of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admission(7.6±11.5 days vs. 11.6±10.8 days vs. 18.6±14.4 days, p<0.05), and the frequency of neonatal jaundice(8.6% vs. 12.5% vs. 29.6%, p<0.05), the frequency of small for gestational age infant(8.2% vs. 40.3% vs. 74.1%, p<0.05), and perinatal mortality(2.6% vs. 2.8% vs. 11.1%, p<0.05) in group 2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rom control group. No difference was found in larger twins. In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s of discordant twin were gestational age and birth weight. Conclusion : In twin pregnancies with birth weight discordancy, larger twins showed no difference in perinatal outcomes but smaller twins with birth weight discordancy more than 25%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erinatal mortality and morbidity. However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 was not discordancy itself but gestational age and birth weight.

목적 : 출생시 체중 불일치를 보이는 쌍태임신의 주산기 예후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1994년 6월부터 2000년 6월까지 아주대학교 병원 산부인과에서 임신 28주 이후에 분만된 총 380예의 쌍태임신중 최종 연구대상 367예에서, 큰 쌍태아의 체중을 기준으로 쌍태아간의 체중 차이가 15% 미만을 정상 대조군 (268예), 15-25%를 1군 (72예), 25% 이상을 2군 (27예)으로 구분하여 큰 쌍태아와 작은 쌍태아의 주산기 예후를 각 군별로 비교하고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를 통해 불량한 주산기 예후에 영향을 주는 독립인자들을 알아보았다.
결과 : 작은 쌍태아들에서는 출생시 신생아 체중(2274.3±424.9gm vs 2012.9±303.2gm vs 1635.2±440.8gm, p<0.05), 신생아 중환자실 입원기간 (7.6±11.5일 vs 11.6±10.8일 vs 18.6±14.4일, p<0.05), 신생아 황달 빈도(8.6% vs 12.5% vs 29.6%, p<0.05), SGA의 빈도(8.2% vs 40.3% vs 74.1%, p<0.05) 및 주산기 사망율(2.6% vs 2.8% vs 11.1%, p<0.05) 등이 대조군에 비해 2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지만, 큰 쌍태아들에서는 각 군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재태연령과 출생체중이 독립적으로 주산기 예후에 영향을 주는 인자로 나타났다.
결론 : 태아간 체중 불일치를 보이는 쌍태임신에서 큰 쌍태아들은 주산기 예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체중 불일치가 25% 이상인 쌍태임신에서는 작은 쌍태아가 높은 주산기 사망률 및 이환율로 불량한 예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체중 불일치 자체는 주산기 예후에 대한 독립적인 위험인자가 아니며 재태연령과 출생시 체중이 주산기 예후에 독립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Keywords

Appears in Collections:
Journal Papers > School of Medicine / Graduate School of Medicine > Obstetrics & Gynecology
Ajou Authors
김, 행수  |  양, 정인  |  오, 기석
Full Text Link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qrcode

해당 아이템을 이메일로 공유하기 원하시면 인증을 거치시기 바랍니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