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Effects of the participatory-learning method on sex-related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이, 순영 | - |
dc.contributor.author | 박, 은아 | - |
dc.date.accessioned | 2013-12-11T03:21:26Z | - |
dc.date.available | 2013-12-11T03:21:26Z | - |
dc.date.issued | 2013 | - |
dc.identifier.uri | http://repository.ajou.ac.kr/handle/201003/8560 | - |
dc.description.abstract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 of 'teacher-centered class' (widely used at present in elementary schools) & 'activity-based class' (making program by write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28 sample in H elementary school in the I city. The study consisted of 64 students in experimental group (activity-based class) and 64 students in control group(teacher-centered class). This study used a quasi-experiment research design with pretest-posttest nonequivalent control-group design, to compare sex-related knowledge and attitude between two groups. Using measurement was 'sex education instrument (developer : Yang Soon Ok and others)' adding 10 extra questions. There were 25 questions for sex-related knowledge and attitude respectively. The data were analyzed to test causal relationship.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5th March 2012 to 27th July 2012 and analyzed with SPSS for Window (version 18.0). The data were analyzed general properties of the answers using descriptive statistic method, and analyzed the same quality verification between the general properties and the research factors using X2- test, Fisher's exact test & t-test. Research hypothesis was 'The experimental group (activity-based class) receives higher points of sex-related knowledge and attitude than the control group (teacher-centered class). The author verified the point gap of sex-related knowledge and attitud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hich was tested before and after applying this program by independent t-test. The result showed that after the sex education program, the point of sex-related knowledge and attitude in all groups increased. However, the control group showed higher sex knowledge point (t=-2.325, p=.022) tha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n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sex attitude points (t=4.686, p=.001)than the control group.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developing the sex education program reflected by teaching method based on educational contents was effectiv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lso the study result to continue suggested to follow-up studies to test the effect of sex education and positive changes toward sex-related attitudes. | - |
dc.description.abstract | 본 연구는 현재 초등학교 성교육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강의식 수업과 연구자가 프로그램을 만든 학생 참여식 수업의 효과성 검증에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I시 소재 H초등학교 6학년 128명을 임의 표본 추출하여 2개 학급 64명은 실험군(참여식 수업군)에 2개 학급 64명은 대조군(강의식 수업군)으로 배정하였다. 이 연구는 두 그룹 간의 성지식 및 성태도 점수를 비교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설계(pretest-po sttest nonequivalent control-group design)에 의한 유사 실험연구이다.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는 양순옥등(2002)이 개발한 성교육 평가 도구에 10문항을 추가하여 성지식과 성태도 각 25문항으로 수정하였고 요인분석을 통해 신뢰도 검증 후 사용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2년 3월 5일부터 2012년 7월 27일까지이며 수집된 자료 분석은 SPSS for Window(version 18.0)을 이용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기술통계방법으로 분석하였고,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연구변수의 동질성 검증은 X2 -test, Fisher's exact test 및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 가설은 ‘참여식 수업방법을 적용한 실험군이 강의식 수업방법을 적용한 대조군보다 성지식 및 성태도 점수가 높을 것이다.’이며 프로그램 적용 전·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성지식 및 성태도 점수 차이를 독립 t-test로 검증하였다. 가설검증 결과 두 그룹 모두 성교육프로그램 적용 후 성지식 및 성태도 점수가 향상되었으나 성지식은 대조군(t=-2.325, p=0.022)에서 성태도는 실험군(t=4.686, p=0.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는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 교육내용에 따라 교육방법을 달리 적용한다면 교육효과를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앞으로 성교육의 효과를 높이고 성태도의 긍정적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교육방법에 대한 후속 연구가 더 이뤄져야 할 것이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국문요약 iv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01 2. 연구 가설 05 3. 용어의 정의 05 Ⅱ. 이론적 배경 1. 학생 참여식 수업과 강의식 수업 08 가. 참여식 수업 방법 06 1) 토론학습 08 2) 협동학습(cooperative learning) 09 3) 교육 연극 10 나. 강의식 수업 방법 14 2. 교육 방법에 따른 성교육의 효과 연구(선행연구 논문 고찰) 16 Ⅲ. 연구 방법 1. 연구 설계 19 2. 연구 절차 20 3. 연구표본 산출 근거와 연구 대상 18 4. 연구 도구(측정도구) 21 1) 성교육 프로그램(차시별 성교육 내용) 21 2) 성지식 측정도구 21 3) 성태도 측정도구 22 5. 자료수집 절차 23 1) 사전 검사 ·23 2) 사후 검사 23 6. 자료 분석 방법 24 Ⅳ. 연구 결과 1. 동질성 검증 가.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5 나. 연구 대상자의 사춘기 신체변화 특성 27 다. 두 집단의 성지식 동질성 검증 28 라. 두 집단의 성태도 동질성 검증 28 2. 가설 검증 가. 제 1가설 29 나. 제 2가설 30 Ⅴ. 논 의 31 Ⅵ. 결론 및 제언 1. 결 론 37 2. 제 언 39 참고문헌 · 40 부 록45 Abstract 77 | - |
dc.language.iso | ko | - |
dc.title | Effects of the participatory-learning method on sex-related | - |
dc.title.alternative | 참여식 교육 방법이 초등학생의 성지식과 성태도에 미치는 효과 | - |
dc.type | Thesis | - |
dc.identifier.url | 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3969 | - |
dc.subject.keyword | 성지식 | - |
dc.subject.keyword | 성태도 | - |
dc.subject.keyword | 성교육 | - |
dc.subject.keyword | 교육방법 | - |
dc.subject.keyword | sex knowledge | - |
dc.subject.keyword | sex attitude | - |
dc.subject.keyword | sex education | - |
dc.subject.keyword | method | - |
dc.description.degree | Master | - |
dc.contributor.department | 보건대학원 | - |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 | 박, 은아 | - |
dc.date.awarded | 2013 | - |
dc.type.local | Theses | - |
dc.citation.date | 2013 | - |
dc.embargo.liftdate | 9999-12-31 | - |
dc.embargo.terms | 9999-12-31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