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Scipus Cited Count

Changes of inflammatory markers as the changes of obesity prevalence in middle-aged Korean men

Other Title
중년 남성에서 비만 유병률 변화에 따른 염증인자의 변화
Authors
김, 광민  | 김, 범택  | 박, 샛별  | 이, 득주 | 김, 상만 | 최, 승화  | 김, 보영 | 김, 규남  | 주, 남석
Cit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18(3). : 94-101, 2009
Journal Titl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ISSN
1226-44072234-7631
Abstract
연구 배경: 심혈관 질환의 위험인자로 백혈구수, 요산, hsCRP, fibrinogen, homocysteine 등의 염증인자들이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만 유병률 변화에 따른 염증인자들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2004년, 2006년 두 해 동안 대학병원 건강 검진 센터를 방문한 사람들 중 백혈구수, 요산, hsCRP, fibrinogen, homocysteine을 검사한, 40대에서 60대의 중년 남성 6,095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2004년과 2006년의 신체 계측, 대사 이상의 차이, 비만 유병률의 변화, 염증인자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2004년에 비만, 복부비만,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이 각각 39.0%, 24.3%, 25.3%였던 것과 비교하여 2006년에는 각각 41.9%, 30.2%, 27.5%로 증가하였다(p<0.05). 두 해의 대사 인자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두 해 간 염증인자 수치 비교 결과 백혈구수는 2004년(6.256±1.325 x 10³/uL)과 비교하여 2006년(6.387±1.344 x 10³/uL)에 더 증가하였고(p<0.001), hsCRP는 2004년에는 0.111±0.108mg/dl, 2006년은 0.122±0.129mg/dl로 증가하였으며(p=0.005), fibrinogen은 2004년 314.909±60.497mg/dl에서 2006년 343.685±62.186mg/dl로 증가하였다(p<0.001). 백혈구, 요산, hsCRP의 경우 비만, 복부비만, 대사증후군이 없는 군에 비해 있는 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2004년과 2006년도의 비만 및 복부비만에 따른 염증인자의 수치 변화를 알아본 결과, 백혈구수(2006년도 비만유무는 제외)와 hsCRP는 각 년도 별 비만, 복부비만 유무에 따라 나이, 흡연량, 음주량, 공복혈당 및 혈압을 보정하기 전후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성인 중년 남성에서 비만의 유병률 증가는 비정상 대사인자 증가 이전에 백혈구수, hsCRP 등의 염증인가 증가와 연관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

Background: The prevalence of obesity has been increasing recently and obesity is thought to play a key role in atherosclerosis through low-grade chronic inflammation.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relation of changes in inflammatory markers under the prevalence of obesity.



Methods: We evaluated the data of 6,095 middle-aged men, who visited the health promotion center of a hospital in 2004 and 2006. WBC count, uric acid, hsCRP, fibrinogen and homocysteine were used as markers of inflammation. We compared anthropometry, parameters of metabolic syndrome, prevalence of obesity and changes in inflammatory markers.



Results: In comparison with the prevalence of obesity, central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in 2004 (39.0%, 24.3%, and 25.3%, respectively), the prevalence increased to 41.9%, 30.2%, 27.5% in 2006, respectively. (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ameters of metabolic syndrome between 2 years. Among inflammatory markers, WBC count increased from 6.256±1.325 x 10³/uL in 2004 to 6.387±1.344 x 10³/uL in 2006, (p<0.001) and hsCRP increased from 0.111±0.108mg/dl in 2004 to 0.122±0.129mg/dl in 2006. (p=0.005) Fibrinogen increased from 314.909±60.497mg/dl in 2004 to 343.685±62.186mg/dl in 2006(p<0.001). When we compared inflammatory markers under the presence of obesity, WBC count, uric acid and hsCRP increased in the obese, centrally obese and metabolic syndrome group. Comparing 2004 and 2006 data for changes in inflammatory markers between the obese group and centrally obese group, WBC and hsCR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spect to presence or absence of obesity and central obesity before and after adjustment for age, smoking, alcohol intake, fasting glucose, and blood pressure.



Conclusion: Increase in prevalence of obesity may be associated with an increase in WBC count and hsCRP level before change in metabolic risk factors in middle aged men.
Keywords

Appears in Collections:
Journal Papers > School of Medicine / Graduate School of Medicine > Family Practice & Community Health
Ajou Authors
김, 광민  |  김, 규남  |  김, 범택  |  박, 샛별  |  주, 남석  |  최, 승화
Full Text Link
Files in This Item: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_18(3)_94-101.pdfDownload
Export

qrcode

해당 아이템을 이메일로 공유하기 원하시면 인증을 거치시기 바랍니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