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Scipus Cited Count

노인 피부소양증의 치료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 유찬-
dc.date.accessioned2014-02-14T04:03:06Z-
dc.date.available2014-02-14T04:03:06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issn1229-6538-
dc.identifier.urihttp://repository.ajou.ac.kr/handle/201003/9332-
dc.description.abstract소양증은 노인에게 가장 흔한 피부과적 문제이며, 보고에 따라 많게는 노인의 66%까지 소양증을 호소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소양증이 있는 경우 우선 소양증을 가라앉히면서 환자의 병력, 이학적 검사(physicalexam), 검사실 소견 등을 통해 치료 가능한 원인을 찾아보아야 한다. 소양증에 대한 치료로서 국소 스테로이드제, 냉각제(menthol 등), capsaicin, 항히스타민제 등을 도포할 수 있고, 전신적으로 항히스타민제 및 스테로이드제 등을 복용할 수 있다. 그러나 노인에서 항히스타민제는 진정(sedation)이 심하게 나타날 수 있고, 스테로이드는 피부위축 작용이 심하게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하여야 한다. 소양증에 대한 원인으로서 크게 일차적 피부질환, 전신 질환, 원인 미상인 경우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dc.language.isoko-
dc.title노인 피부소양증의 치료-
dc.typeArticle-
dc.identifier.urlhttp://www.koreangeriatrics.or.kr/journal/pds_view.asp?bid=4&uid=520&page=13&SearchType=&SearchStr=-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김, 유찬-
dc.type.localJournal Papers-
dc.citation.titleKorean journal of clinical geriatrics-
dc.citation.volume11-
dc.citation.number1-
dc.citation.date2010-
dc.citation.startPage118-
dc.citation.endPage120-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Korean journal of clinical geriatrics, 11(1). : 118-120, 2010-
dc.relation.journalidJ012296538-
Appears in Collections:
Journal Papers > School of Medicine / Graduate School of Medicine > Dermatology
Files in This Item:
Korean journal of clinical geriatrics_11(1)_118-120.pdfDownload

qrcode

해당 아이템을 이메일로 공유하기 원하시면 인증을 거치시기 바랍니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